출가 및 수행

성남 망경암 주지

제 10대 중앙종회의원

제 14대 중앙종회 활동

제33대 총무원장

제34대 총무원장

봉은사 회주

연보 내 검색

기간으로 검색

~
1,6792개의 연보
  • 1986년 1월 23일 (불기 2530년)
    성남 망경암望京庵 주지를 맡다.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553-1) 영장산에 있는 망경암에선 서울이 한 눈에 내려다보여 서울을 바라보는 암자라는 뜻의 이름이 붙었다. 스님은 망경암에 그해 8월 20일까지 있었다.

    망경암은 고려 말과 조선 초 임금들이 나라와 백성의 평안을 빌었던 곳이다. 조선조 세종의 7째 아들인 평원대군과 손자 제안대군이 단을 설치하고 분향하여 충효를 다짐하던 곳으로 전해진다. 칠성신앙과 관련된 도량으로 암벽을 깎아내고 이 안에 부조로 불상을 새겨 넣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2호 마애여래좌상이 있다. 마애여래좌상 주변에는 광무 7년(1897년) 이규승이 관음상을 새겼다는 기록이 있다. 마당 한쪽에 부처님이 내려주신 복된 감로수가 마르지 않는 복우물이 조성되어 있다. 성남시 복정동 지명은 이 우물에서 비롯됐다. 사찰 전각들로는 대웅전, 삼성각, 미륵전이 있는데, 모두 근래 조성된 것들이다. 거대한 미륵대불과 5층석탑도 있다. 망경암 자연암벽에 감실을 만들고 그 안에 불상을 모셨다.
  • 1986년 1월 14일 (불기 2530년)
    조계종 제24대 총무원(총무원장 녹원스님) 교무국장에 발탁되다.
    종무행정 경험을 쌓으며 사판事判의 길을 걷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