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9월 30일 (불기 2565년)
상월결사 삼보사찰 천리순례단이 전남 순천 송광사에 집결하다.
고려시대 16국사를 배출한 송광사는 보조국사 지눌스님(1158~1201)이 정혜결사를 펼친 곳이다. 정혜결사는 부패하고 타락한 불교를 비판하며 승려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예불 독경 참선 노동 등에 힘쓰자는 쇄신 운동이었다. 보조국사는 정혜사를 세우고 신앙 공동체인 ‘결사’라는 방식으로 불교계 개혁을 주장했고, 이 결사에 승려뿐 아니라 왕족과 귀족, 일반 신도도 동참했다. 삼보사찰 순례단은 송광사에서 이날 오리엔테이션을 갖고 청규 엄수를 다짐하다. 상월결사를 이끄는 회주 스님이 순례 대중에게 108염주를 수여하다. 유나 현묵 스님 등 송광사 고승대덕 스님들도 순례단을 격려하다. 삼보三寶는 불교의 세 가지 보물이란 뜻으로 불佛, 법法, 승僧을 의미한다. 불자라면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 부처님의 제자를 마음의 의지처로 삼아 정진한다. 석가모니 재세시에 깨달음을 얻으신 부처님께서 녹야원에서 설법을 해 최초의 제자인 5비구가 나타났고(初轉法輪), 이후 삼보가 성립되면서 재가신자가 귀의했다. 조계종단이 삼보에 귀의하는 삼귀의를 불교에 입교하는 첫 순서로 삼는 이유기도 하다. 조계종단에서 삼보를 상징하는 대표적 사찰이 부처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있는 통도사, 팔만대장경이 있는 해인사, 그리고 송광사다.
-
2021년 9월 16일 (불기 2565년)
동국대 경주캠퍼스 건학위원회가 출범하다.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건학위원회 위원장 자승스님을 증명으로, 고문에는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이사장 성우스님을 추대하고, 이영경 총장이 건학위원장을 맡다.
-
2021년 9월 14일 (불기 2565년)
동국대 서울캠퍼스 건학위원회가 출범하다.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건학위원회 위원장 자승스님을 증명으로,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이사장 성우스님을 고문으로 추대하고, 윤성이 총장이 건학위원장을 맡다. 동국대 서울캠퍼스 건학위원회는 신행/포교, 인재양성, 지속성, 기금/재정, 글로벌 등 5개의 분과위원회와 사무국을 구성해 건학이념 구현을 통한 제2 건학을 도모하다.
-
2021년 9월 3일 (불기 2565년)
만해마을에서 백담사를 돌아오는 순례가 진행되다.
새벽 3시 회주 스님을 필두로 120여 명이 총 8개 조로 나눠 길을 나서다. 백담계곡을 거쳐 백담사까지 12km를 걷고 되돌아오는 총 25km 왕복 순례길. 본 순례와 마찬가지로 걷는 동안 휴대폰 사용은 금지되고 묵언으로 행선하다. 백담사에 도착해 극락보전을 참배한 순례단은 일반에 개방되지 않은, ‘문 없는 문 무문관’을 잠시 엿볼 수 있는 기회도 얻다. 백담사 무문관은 회주 스님이 총무원장 8년 임기를 마친 뒤 곧바로 동안거에 들었던 곳. 동안거에 들어 한국불교 중흥과 국난극복을 위한 결사를 다짐헸고, 상월선원 천막결사에 이어 만행결사 자비순례, 삼보사찰 천리순례로 결행되다.
-
2021년 9월 2일 (불기 2565년)
강원도 인제 동국대 만해마을에서 '삼보사찰 천리순례' 예비순례 입재식이 열리다.
‘삼보사찰 천리순례’ 대장정을 한 달 여 앞두고 결사 대중들이 인제 만해마을 ‘님의침묵’ 광장에 모여 의지를 다지다. 조계종 포교원장 범해스님, 동국대 이사장 성우스님, 조계종 소청심사위원장 동명스님, 불교신문 사장 현법스님, 주간 오심스님 등도 순례단을 격려하다. 참가자들은 모두 코로나 백신 1차 접종자로 방역 수칙에 따라 행선 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걷는 내내 방역팀에 따라 온도 체크 및 소독 등에 따르기로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