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월 20일 (불기 2566년)
상월결사가 인도도보순례 ‘상월결사, 부처님과 함께 걷다’ 계획이 발표되다. 인도도보순례는 2019년 상월선원 천막결사와 2020년 국난극복 자비순례, 2021년 삼보사찰 천리순례, 2022년 평화방생순례에 이어 인도에서 부처님처럼 직접 도보로 길을 걷는 성지순례다. 일정은 2023년 2월 9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해서 델리와 바라나시를 거쳐 2월 11일 사르나트에서 입재식을 갖고, 보드가야와 라즈기리(영축산), 나란다대학, 바이샬리, 쿠시나가르, 네팔 룸비니 등 인도와 네팔의 불교성지 순례하고 3월 20일 기원정사에서 회향식을 가진 뒤 3월 23일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다. 43일 동안 1167km를 매일 새벽 3시 출발해 약 25km씩 걷는다. 기내 1박을 제외한 현지 42박 가운데 야외 텐트에서 29박을 하고, 목욕과 빨래 등 개인 정비를 위해 숙소에서 12박을 한다. 스님과 재가자, 남녀노소 구분 없이 누구나 평등하게 두 발로 전 구간을 걸으며 길 위에서 공양하고 잠자리에 든다. 순례단장 원명스님과 실무담당자들이 6월 14일부터 23일까지 인도 현지를 사전답사하고, 6월 29일 답사결과를 회주 스님에게 보고한 후 7월 18일 순례단 조장 간담회를 열어 일정을 확정하겠다고 밝히다. 이어 10월 1일과 2일에 화엄사 일원에서 인도순례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한다. 참가자는 8월 31일까지 상월결사 인도순례 참가신청 홈페이지(https://naver.me/x0GjaUeq)를 통해 접수 받아 자비순례와 천리순례 등 기존 상월결사 순례 참가자를 우선 선정한 뒤 내부회의를 통해 최종 참가자를 확정한다. 참가자 규모는 봉사자 포함해 100명선으로 동참비는 1인당 1,000만 원선이 될 거라고 밝히다. 박기련 상월결사 지원단장의 사회를 열린 이날 기자간담회는 상월결사 총도감 호산스님의 인사말과 개요 발표, 상월결사 순례단 3조 조장 법원스님의 상월결사 경과보고, 순례단장 원명스님의 인도순례 경과보고, 상월결사 순례단 4조 조장 설암스님의 취지문 낭독 등으로 진행되다.
2022년 7월 6일 (불기 2566년)
법주사 일원에서 평화 방생순례를 거행하다.
부처님 법이 머무르는 도량, 속리산 법주사法住寺는 신라 진흥왕 14년(553년) 의신조사가 창건한 유서 깊은 미륵도량이다. 팔상전 등 국보 3점과 보물 13점 등 40여 점의 지정 문화재가 있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다. 전국 각 교구본사를 찾아 평화 방생순례를 하고 상월결사가 법주사 일원에서 4번째 순례를 이어가다. 오전 9시30분 법주사 대웅보전 앞마당에서 참석 대중 모두가 둥글게 선 채, 총도감 호산스님의 사회로 입재식이 봉행되다. 회주 스님은 동국대 이사장 성우스님이 대독한 인사말씀를 통해 “옳고 그름의 경계속에서 집착과 번뇌를 내려놓고 끊임없는 자비행을 사회에서 실천해야 평화로운 세상이 이뤄질 것”이라며 “법주사 순례길을 걸으며 상월결사 평화방생순례의 본래 취지를 잘 참구해 사바세계가 불국정토로 전환하길 축원한다”고 말하다. 회주 스님으로부터 죽비를 건네받은 법주사 주지 정도스님은 환영인사를 통해 “순례자들의 마음에 자비와 세상에는 평화를 위해 내딛는 우리들의 한 걸음 한 걸음의 발자취는 한국불교의 새로운 방향과 수행의 방법을 제시하는 소중한 기록이자 살아있는 역사가 될 것”이라며 “이런 소중한 시간과 인연이 이곳 법주사에서 이뤄지는 것에 감사드리고 함께 동참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전국 각지에서 온 순례자들을 반기다. 연경희 법주사신도회장이 대표로 낭독한 발원문을 통해 “강하고 약한 나라 모두가 분별과 차별이 없는 평화의 서원을 의지해 향기로운 정토로 나아가는 마음의 평화 방생을 원만 성취해 주시옵고 모든 생명이 함께 걷는 마음의 길을 환하게 밝혀 주시어 평화의 꽃향기를 널리 나눌 수 있도록 생명의 문을 크게 열어주소서”라고 서원하다. 입재식을 마친 뒤 회주 스님을 필두로 1,500여 명의 사부대중이 순례에 나서다. 30도를 훌쩍 뛰어넘는 무더위와 폭염으로 불의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막기 위해 걷는 길이도 줄이고, 코스도 평지 중심으로 구성되다. 순례는 총지선원 옆을 지나 석문까지 갔다가 되돌아온 뒤 능인수련원을 거쳐 상수도수원지를 한바퀴 돌아서 경내 미륵대불 앞마당에 이르는 7km다. 이날 순례에는 회주 스님을 비롯해 동국대 이사장 성우스님, 건학위원장 돈관스님, 법주사 주지 정도스님, 마곡사 주지 원경스님, 수덕사 주지 정묵스님, 동화사 주지 능종스님, 은해사 주지 덕조스님, 고운사 주지 등운스님, 안국선원장 수불스님, 불교신문 사장 현법스님과 주간 오심스님, 총무원 기획실장 법원스님, 중앙종회 부의장 각림·만당스님과 중앙종회의원 30여 명 등 스님을 비롯해 조계사와 봉은사, 도선사, 진관사, 안국선원, 용화사 등 전국 각지의 사찰 신도들도 함께 했다. 또한 주윤식 조계종 중앙신도회장과 윤성이 동국대 총장, 이영경 와이즈캠퍼스 총장 등 재가단체 지도자와 김영환 충북도지사와 최재형 보은군수 등 지역 정관계 인사들이 동참하다. 오후 12시30분께 걷기를 회향한 순례 참여자들은 불교중흥과 국가 화합, 세상의 평화를 염원하는 평화방생 축원과 법주사 경내를 참배한 뒤 다음 순례를 기약하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미륵도량’ 법주사서 평화 발원하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