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가 및 수행

성남 망경암 주지

제 10대 중앙종회의원

제 14대 중앙종회 활동

제33대 총무원장

제34대 총무원장

봉은사 회주

연보 내 검색

기간으로 검색

~
1,6792개의 연보
  • 2023년 3월 13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33일차, 브랫터와에서 콜리야까지 행선하다.
    룸비니로 가는 길. 오늘날 국경으로 나뉘어져 있으나, 부처님 재새시 기준으로 순례단은 이미 부처님 고향에 들어선 셈이다. 전날(12일) 묵은 브랫터와는 부처님 어머니인 마야부인의 친정인 꼴리야 족 땅이고, 석가족과는 로이니강을 경계로 나뉜다. 이날 순례단은 새벽 4시경 로이니강을 건너다. 로이니강은 부처님의 평화사상이 서려 있는 의미 있는 곳이다. 석가족과 꼴리야족은 로이니 강물을 서로 차지하겠다고 다투다 결국 전쟁 직전까지 갔다. 그 소식을 듣고 부처님께서 달려와 "작은 가치의 물 때문에 값으로 따질 수 없는 사람들의 목숨을 해친다는 것이 온당한 일인가?"라고 왕들을 질책했다. 두 나라 백성들은 "부처님의 은혜로 목숨을 건지게 되었습니다"라고 땅에 엎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증오 속에 있지만 증오 없이, 미워해야 할 사람들 속에서도 미움 없이 행복하게 자유롭게 살자"고 설법했다. 감동한 양 부족 젊은이 각 250명씩 500명이 부처님을 따라 출가했다. 부처님의 탄생계 ‘천상천하天上天下 유아독존唯我獨尊, 삼계개고三界皆苦 아당안지我當安之'는 생명존중 선언이다. 부처님 이전에는 하늘 위에는 신이 주인이고 땅 위는 왕이 주인이었다. 인간은 금생은 없는 셈 치고 하늘에 운명을 맡기거나 제사를 잘 모셔 그 복으로 내생을 기약하는 수밖에 없는 수동적이며 무기력한 존재였다. 부처님께서는 이를 부정했다. 나를 비롯하여 모든 생명은 계급 인종 종교 민족을 떠나 평등하고 조건이 아닌 오직 스스로의 행위에 의해 결정된다고 선언하셨다. 고통은 다름 아닌 상대방을 인정하지 않는데서 비롯된다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내가 갖고 싶으면 상대방도 갖고 싶고, 내가 부족하다고 느끼면 다른 사람도 같이 느낀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인정할 때 평화가 찾아온다. 로이니 강물을 석가족이 필요하면 꼴리야족도 필요하다. 순례단의 기치도 ‘생명존중, 붓다의 길을 걷다’이다. 순례단이 걷는 길과 머무는 쉼터는 한국과 인도, 불교와 힌두교, 불교와 이슬람이 함께하는 생명 평화의 한 마당이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33일차①] 로이니 강 건너 생명존중의 가르침을 배우다
    바로가기
  • 2023년 3월 12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32일차, 브랫터와 힌두 사원에서 동네 잔치가 벌어지다.
    하르푸르를 출발해 시카르푸르를 지나다. 시카르푸르 경찰서장이 스님들에게 장미를 바치고 주민들이 발아래 머리를 숙여 존경의 예를 표하다. 아침 공양은 마하라즈간지의 관공서 마당에서 하다. 이날 행선은 국도와 농로를 번갈아 걷다. 여느 도시 시골처럼 순례단을 향해 불자 주민들은 고개 숙여 합장하고, 종교가 다른 사람들은 박수로 환영하다. 브랫터와에 도착해 숙영지는 전날(11일)처럼 힌두 사원에 차리다. 브랫터와는 꼴리족 마을로 부처님의 외가 부족이다. 숙영지에 주민들이 차양막으로 햇볕을 가리고 바닥에는 먼지가 나지 않도록 카페트를 깔아놓다. 순례단의 저녁 예불은 가는 곳마다 동네 잔치가 되다. 이날도 1,000여 명 가까운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저녁 예불은 힌두어로 통역돼 주민들에게 그 뜻을 알리다. “한국과 인도의 친선, 주민들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한국스님들의 기도”라는 말에 주민들은 열렬한 박수로 감사를 표하다. 예불 후 스님들은 1시간 넘게 주민들과 어울려 기념촬영을 하며 어울림 한마당이 연출되다. 이 지역을 대표하는 무하마드자심 치안판사는 로이니강을 사이에 두고 석가족과 콜리야족 사이에 물 분쟁이 벌어졌던 불교 경전을 사례로 들며 “바로 여기서 3km 떨어진 로이니강에서 부처님의 화합 설법이 있었다”고 소개한 뒤 “한국 스님들이 우리 지역에 오셔서 너무 너무 감사하다”고 인사하다. 그러면서 “어려서부터 지역 유산인 불교를 공부하기 때문에 그 가르침도 잘 알고 있다”며, “많은 이들이 자비와 사랑으로 서로 대한다면 세계평화도 금방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이다. 이 지역 불자들은 순례단이 이운하는 부처님 전에 바나나 사과 꽃을 공양하고 회주 스님 발 아래 고개 숙여 존경을 표하다. 회주 스님도 치안판사를 비롯하여 공양 올린 불자주민들에게 단주를 선물하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32일차①] 부처님 외가 꼴리족 환대 속에 룸비니 앞으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