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역경인력 양성: 동국대 불교학술원 ‘한국불교융합학과’ 및 ‘불교한문아카데미’ 운영
2014년 한국불교융합학과 입학생 17명2015년 한국불교융합학과 입학생 3명2016년 한국불교융합학과 입학생 2명, 석ㆍ박사 수료자 3명2017년 한국불교융합학과 입학생 2명2014~2017년: 불교한문아카데미 수료생 총 3명
성과
01
승가전문인력 육성을 위해 ‘국제불교학교’를 종단과 동국대(경주)계약에 의거 비구ㆍ비구니 스님 대상으로 동국대(경주)석사학위 과정의 ‘국제불교 문화사업학과’를 개설해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진행
02
종단과 동국대(서울)와의 MOU를 통해 불교학술원 산하에 ‘석ㆍ박사 통합과정’과 이를 준비하기 위한 교양기초과정으로 ‘불교한문아카데미’ 운영
2016. 12. 13
동국대학교 한국불교융합학과 불교한문 번역 연찬회
사회와 역사에 부응
(승가교육제도 개선 및 수립 8) 승가고시 시행을 정착
취지 및 목적
승가고시 시행을 정착시켜 승랍에 따른 수행자로서의 목표와 지향점 주기적으로 재점검하고 시대 정신에 부합하는 불교 가치의 구현 방안 구체화
시행경과
2014년
4급 승가고시
2014년 4급 승가고시에 기본 교육기관 일상 수행 평가와 불교 상용 의례를 고시에 반영
3급 승가고시
2013년부터 고시 평정에 대한 기준안을 마련하고, 교차 채점으로 형평성을 확보하였으며, 과목별 배점 기준을 마련하는 등 시행 및 평가에 대한 기준 정립; 2014년부터 예상문제집 발간; 2017년 전법포교 역량 향상을 위해 ‘3분 설법시연’을 고시과목으로 시행
2급 승가고시
2014년부터 ‘설법시연’ 분야를 최초로 시행하여 스님들의 전법포교 역량 평가
1급 승가고시
승가고시에 의한 법계제도가 정착된 이래 2015년 종단 최초의 1급 승가고시 시행; 2016년 1급 승가고시에서는 ‘종단 발전방안 제안서’ 작성 시행
성과
01
2015년 1급 승가고시 시행으로 1급부터 5급까지의 승가고시 시행이 정착됨. 승가고시를 통한 법계 체계가 정립되었고, 승가고시와 연수교육을 연계해 평생 교육 기반을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