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7월 금강산 관광 중단을 시작으로 2010년 3월 천안함 사건, 5월 5∙24 대북중단조치, 11월 연평도 포격사건, 2012년 12월 김정일 국방위원장 조문 파동, 북 장거리로켓 발사, 2013년 2월 북 3차 핵실험 등 연이은 사건으로 인해 정부간 교류는 물론 민간교류마저 어려운 상황. 종단은 남북불교계의 협의채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신뢰관계 형성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남북관계의 물꼬를 트기 위해 노력
시행경과
2010년
1월 30일 ~ 2월 2일
총무원장스님 방북(평양)
5월 17일
부처님오신날 봉축물품 대북지원(금강산)
8월 15일
광복 65주년 조국통일기원 8∙15 남북불교도 동시 법회(봉은사)
9월 18일
북한 수해 긴급구호물품 1차 지원(인천→남포)
10월 13일
북한 수해 구호물품 2차 지원(금강산)
10월 13일
금강산 신계사 복원 3주년 기념 남북불교도합동법회(금강산)
2011년
5월 4일
부처님오신날 봉축 민족화해기원 남북합동법회(금강산)
5월 4일
대북인도적 물품지원(금강산)
6월 13일
북한의 전통사찰 도록(전10권) 발간
8월 10일 ~ 11일
북한의 전통사찰 사진전 <분단 66년, 북녘의 불교문화유산>(국회의원회관)
8월 15일
광복 66주년 조국통일기원 8∙15 남북불교도 동시법회(봉은사)
9월 21일 ~ 24일
7대 종단 수장단 방북(평양)
10월 12일
북한 수해 대북지원, 밀가루 100톤(개성)
10월 13일
금강산 신계사 복원 4주년 기념 남북불교도합동법회(금강산)
11월 12일 ~ 16일
민추본 대표단(수해지원 분배확인) 방북(평양)
2012년
3월 29일 ~ 30일
남북불교교류 실무회담(중국 심양)
8월 15일
광복 67돌 기념 조국통일 기원 8∙15남북불교도 동시법회(조계사)
10월 13일
금강산 신계사 복원 5주년 기념 남북불교도 합동법회(금강산)
10월 16일 ~ 17일
중장기 남북불교교류 활성화 정책협의 실무회담(중국 심양)
2013년
8월 15일
광복 68돌 기념 조국통일 기원 8∙15남북불교도 동시법회(봉은사)
8월 18일 ~ 19일
남북불교교류 실무회담(중국 심양)
10월 13일
금강산 신계사 복원 6주년 기념 남북불교도 합동법회(금강산)
성과
01
총무원장스님의 2010년 1월 평양 방북, 2011년 9월 초 평양 및 묘향산 방북, 연이은 9월 말 종교지도자들과의 평양방북은 경색된 남북관계의 물꼬를 트고,2011년 하반기 정부의 대북유연화 조치를 시행하는 중대한 계기로 작용
02
남북실무회담(총 6회) 개최, 남북합동(동시) 법회(총 9회) 및 대북인도적지원(총 5회) 등을 통해 남북불교간 안정적인 협의채널을 유지하고 있으며 공존과 상생이라는 남북관계의 소통과 화합의 방향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