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2월 20일 (불기 2568년)
1주년 맞은 상월결사 인도순례
한국을 넘어 전 세계 불자들에게 감동을 주고, 인도 불교를 일깨웠던 ‘상월결사 인도순례’가 1년을 맞았다. 생명존중과 평화, 한국불교 중흥을 발원하며 1167km, 43일 동안 부처님의 여정을 따라 도보순례를 떠났던 ‘상월결사 인도순례’는 2023년 2월9일 조계사에서 종정예하를 모시고 고불식을 봉행하며 장엄한 걸음을 내딛었다.
부처님께서 다섯 비구에게 처음 법을 설했던 녹야원에서 입재식을 봉행하고, 가슴에 불상을 안고 부처님께서 걸었던 길을 따라 나선 순례단은, 부처님 성도지 보드가야에서 평화기원 대법회를 봉행하고, 첫 여성 출가지 바이샬리에서 뭇 생명의 안식을 기원하는 천도재를 올렸다.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쿠시나가라 열반당에서 부처님께 가사를 공양하며 한국불교 중흥의 원력을 다졌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탄생한 룸비니를 거쳐, 불법(佛法)이 가장 열악했던 불모지에서 불법이 가장 수승한 땅으로 거듭난 ‘전법 성지’ 쉬라바스티에서 순례를 마쳤다. 조계사에서 수만명의 대중과 함께 ‘부처님 법 전합시다’를 발원하며 43일에 걸친 순례를 회향했다.
상월결사 인도순례는 한국불교에 큰 울림을 던졌다. 100명이 넘는 많은 대중이 야영하며 도보 순례를 한 전례가 없었던 희유한 일에 전 세계가 감동했다.
순례는 전법(傳法)으로 이어졌다. 그 중에서도 한국불교 미래를 좌우할 청년 대학생 전법에 종단이 하나가 되었다. 대학생전법위원회가 출범하고 원로 스님과 교구본사, 중앙종회의원, 재가대중이 함께 십시일반 보탠 전법기금이 모였다. 원력이 결집되자 전국에서 대학불교학생회가 만들어졌다. 청년들이 사찰에서 합창을 하고 댄스를 선보였다. 한국불교사에 새로운 장이 열렸다. 이 모두 상월결사 인도순례를 이끈 자승스님의 원력 덕분이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스님은 대학생전법에 필요한 기금을 마련한 뒤 홀연히 우리 곁을 떠났다. ‘나에게 의지하지 말고 법을 등불 삼고 자신을 의지하라’는 부처님 유훈처럼 자승스님은 ‘나에게 의지하지 말고 사부대중 스스로 전법사가 되라’는 가르침을 남기고 떠났다.
인도순례와 전법, 자승스님의 열반 등 많은 역사를 쓰며 상월결사 인도순례는 1주년을 맞았다. 2024년 2월9일 1년 전 그 날처럼 조계사에서는 순례단이 다시 모여 전법 원력을 굳건히 했다. 대중들은 1년 전처럼 “모든 생명이 차별 없는 사회와 인류가 화합 공존하는 평화세상 구현”을 다짐했다. 상월결사 대중들은 서울 시내를 걸으며 초발심을 떠올렸다.
도보 순례는 회향했지만 전법 순례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불교는 다섯 비구 초전법륜에서 시작했다. 구르는 바퀴처럼 법륜(法輪)도 쉼 없이 굴러야한다. 그 이유는 불교만이 세상에 평화와 안락을 주기 때문이다.
-
2023년 5월 27일 (불기 2567년)
서울 봉은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예방을 받다.
부처님 오신날, 윤 대통령이 오전 서울 조계사 봉축법요식에 참석한 뒤 봉은사를 방문해 경내 상월선열당에서 회주 스님과 1시간 30분가량 점심 공양을 함께 하다. 공양 후 구생원으로 자리를 옮긴 회주 스님과 윤 대통령은 차담을 나누다. 차담에는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를 비롯해 태영호 의원(서울 강남 갑), 유경준 의원(서울 강남 병), 배현진 의원(서울 송파 을), 이은재 전 의원(전문건설공제조합 이사장), 대통령실 강승규 시민사회수석과 봉은사 주지 원명스님, 최진식 봉은사 신도회장, 박기련 동국대 건학위 사무총장이 배석하다.
한국방송이 제작한 상월선원 인도순례 프로그램이 KBS 1TV에서 오후 4시10분 부처님오신날 다큐멘터리 <부처님과 함께 걷다>로 방영되다.
-
2023년 4월 12일 (불기 2567년)
서울 봉은사에서 트로트 신동 김태연 양을 만나다.
상월결사 인도순례 회향식에서 초청가수로 공연한 김태연 양이 어머니 김애란 씨와 회주 스님을 예방하다. ‘미스트롯2’ 톱(TOP)4에 뽑혀 트로트 신동으로 불리는 태연 양은 총무원 문화부장 탄원스님에게 회주 스님과의 만남을 부탁했다고. 방송을 통해 태연 양의 재능을 알아보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던 회주 스님이 흔쾌히 응해 만남이 성사되다. 회주 스님은 태연 양을 위해 저녁 공양 메뉴로 떡볶이와 샌드위치를 준비하고, ‘세계가 낳은 소리꾼 김태연, 부처님 법을 전합시다. 자승’이라는 친필을 써 주면서 “불자 가수로서 기대가 크다. 최고의 소리꾼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축원하다. 또 김애란 씨에게 “정말 큰 보물을 낳아 잘 키워주셨다. 앞으로 김 양이 잘 자라서 불자이자 국악인, 가수로서 한국을 빛내는 인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축원하다. 태연 양은 회주 스님에게 법명을 받고 싶고, 4월 22일 열리는 첫 콘서트에 와달라고 부탁하다. 한편, 회주 스님은 태연 양과 어릴 때부터 인연을 맺어온 호암스님(군위 인각사 주지)에게 “김 양의 재능을 일찍부터 알아보고 불자로 바르게 자랄 수 있도록 인도하셨다. 정말 잘 하셨다”고 격려하다.
-
2023년 3월 21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41일차, 사위성 수닷타탑과 앙굴리말라탑을 참배하다.
짐을 꾸려 귀국행을 준비하다. 준비를 마치고 순례단은 사위성으로 이동해 수닷타탑과 그 옆에 함께 있는 앙굴리말라탑을 참배하다. 수닷타는 부처님 재세시 강국 코살라의 대부호로 부처님을 존경하고 불법에 귀의하여 기원정사를 지어 부처님을 모신 최고의 자선사업가요 불교사 최고의 우바새다. 앙굴리말라는 희대의 살인마로 부처님 마저 살해하려다 교화를 받아 불법에 귀의한 뒤 아라한의 경지에 올랐다. 둘은 사람 됨됨이도, 부처님과의 인연도 달랐으나 불법을 만난 뒤 후대에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두 탑 참배를 끝으로 부처님 성지 순례는 모두 마무리되다. 참배를 마친 순례단은 41일간 성지를 함께 순례한 ‘부처님’과 인도에서의 작별을 고하다. 부처님께서 생전에 가셨던 길을 순례단 가슴에 안겨 함께 순례한 불상에는 '상월부처님'이란 이름이 붙다. 상월부처님은 한국으로 이운하다. 참배를 마친 순례단은 석 대의 버스에 분승해 179km 떨어진 우타르 프라데시 주 수도 럭나우로 이동하다. 4시간여를 달려 호텔에 도착한 순례단은 저녁 공양 후 마지막 조장회의를 갖고 인도 일정을 공식 매듭짓다. 총 누적 이동거리 1,167km.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41일차] 촬영피디 순례단 감동 불교에 귀의, 환희와 자긍심 넘치는 순례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