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66개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상세연보62

  • 2023년 5월 31일 (불기 2567년)
    강원 양양 낙산사 설악당 무산대종사 부도탑 제막식 및 5주기 추모다례재에 참석하다.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시조시인이자 설악산문을 중심으로 선풍禪風을 일으킨 선지식인 설악산 신흥사 조실 무산대종사 원적 5주기를 맞아 무산스님 문도회와 후학들이 부도탑을 설치하다. 조각가 김경민이 조성한 부도탑은 중앙부분에 무산스님의 사리를 봉안하고, 스님이 쓴 시조 '파도’ 전문과 직접 그린 그림을 새기다. 왼쪽에는 앉아있는 무산스님의 동상이, 오른쪽에는 참배객 누구나 앉아서 스님과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구성하다. 부도탑 제막식에서 회주 스님이 제막사를 하다.
  • 2023년 3월 14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34일차, 국경을 넘어 네팔 룸비니에 도착하다.
    새벽 2시30분 인도 콜리야를 출발해 인도 네팔 국경도시 마후와의 태국 사찰에서 컵라면으로 아침 공양을 하다. 인도 네팔 국경을 잇는 소나울리는 양국을 오가는 화물 트럭과 사람들로 혼잡해 순례단은 버스에 분승해 출입국 절차를 밟다. 출입국관리 사무소에는 새벽부터 룸비니 법회에 참석하기 위해 입국을 기다리는 한국의 불자들이 눈에 띄다. 한국 불자들은 순례단이 나타나자 새벽부터 기다린 피로도 잊은 듯 뜨거운 박수로 환영하다. 한국 불자들 외에 네팔 불자와 불교단체, 불교학교 어린이 청소년들도 순례단을 환영하다. 순례단은 국경을 벗어나 룸비니 10km 전방에서 하차해 다시 걷다. 룸비니 지방은 인종 종교 언어 문화 역사 등이 인도와 다르지 않아 두 나라 국민은 비자 없이 자유로이 왕래한다고. 그래서 네팔 정부는 국기에 대한 맹세, 국가 제창 등 네팔 국민 정체성 강화를 시책으로 추진하고 있단다. 이에 따라 순례단도 한국 인도 국기가 그려진 마스크와 모자를 네팔 국기가 그려진 마스크로 바꿔 착용하다. 연도에는 한국과 인연 있는 불자들이 순례단을 환영하다. 엄홍길 학교 어린이와 교사들도 나와 꽃을 뿌리며 환호하다. 오전 8시를 넘긴 시간, 날이 더워 10km 행선 걸음이 더디다. 룸비니 입구에는 법주사와 교구 산하 사찰 스님 및 신도, 서울 약사사 스님과 신도, 멀리 제주 법화사까지 많은 한국 불자들이 와서 순례단을 뜨겁게 맞아주다. 법회가 열리는 마야데비 사원까지는 2km가 넘는 거리. 길 중간중간 선묵스님의 108순례단과 네팔 어린이들이 응원하다. 오전 10시가 넘은 시간, 마야데비 사원 아쇼카석주 옆 광장에서 34일차 행선을 회향하다. 이어 마야데비 사원에서 <금강경>을 독송하고, 상월결사의 원력과 전법의지를 담은 '상월108원력문’에 맞춰 108배를 하다. 한국불교 중흥의지와 불자로서 꼭 해야 할 생활속 불교 수칙, 사회를 향한 자비행, 불자로서 굳은 신심 등을 담은 원력문은 인도순례 중에 문구가 확정돼 부처님께서 태어나신 룸비니에서 처음 세상에 공개되다. 108배를 마친 순례단과 한국에서 온 불자들은 11시부터 마야데비 사원 아쇼카석주 옆 광장에서 ‘상월결사 인도순례, 생명존중 붓다의 길을 가다’ 탄생지 법회를 봉행하다. 총도감 호산스님 진행으로 열린 법회는 회주 스님의 연등공양 및 장엄, 삼귀의 반야심경, 네팔 불교의식, 상월결사 순례의미를 담은 봉행사, 부처님 탄생게 낭송, 환영사 순으로 진행되다. 법회에는 한국뿐 아니라 네팔 룸비니개발위원회 부위원장 베네레벌 샤크야무니뿌떠 스님과 주네팔 한국대사관 박종석 대사 및 관계자들, 네팔의 한국인 불자 등도 참가해 부처님 성지를 찾은 한국 순례단을 응원하고 원력 성취를 기원하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34일차①] 부처님 탄신지 룸비니서 생명 살리는 세상 평화 발원
    바로가기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밭(참회) 그만 갈고 씨(원력) 뿌리자”
    바로가기
  • 2023년 3월 6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26일차, 고팔간즈를 출발해 두바울리야까지 행선하다.
    음력 2월 15일 열반절. 새벽 2시30분 행선 출발 전 법정스님의 열반재일 발원문을 부처님 전에 고하다. 고팔간즈 시내를 빠져나와서 철길 건널목을 지나자 얼마 뒤부터 들판 제방길. 길은 숙영지를 3km 가량 앞두고 마을로 방향을 틀면서 끝나다. 하룻밤 지낼 야영지가 마을에 있어 잠시 벗어나다. 이날 행선은 두바올리야까지 24km를 걸어 누적 641km. 부처님 열반 성지 쿠시나가르까지는 48km가 남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26일차] 열반절 맞아 법정스님 발원문을 부처님께 고하다
    바로가기
  • 2023년 3월 4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24일차, 후새니를 지나 사다우아까지 행선하다.
    바이샬리에서 쿠시나가라까지는 거의 200km를 가야 한다. 이날은 후새니, 두마리야, 카라스갯을 거쳐 사다우아까지 26km를 걷다. 이동 누적 거리는 593km. 이날 순례단은 여명이 밝아올 무렵 간닥강의 난간이 무너진 다리를 건너다. 강변에는 화장터가 불을 밝히다. 강을 따라 올라가니 이제껏 지나왔던 똑같은 골목과 들녘 풍경이 펼쳐지다. 순례단을 맞는 호기심 가득한 얼굴, 정성스럽게 합장하고 맞아주는 사람들도 한결 같다. 쿠시나가라까지 여정은 4일, 100km가 남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24일차] 급격히 오른 온도, 습진과 싸우며 행선
    바로가기
결과 더 보기

말과글0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과 더 보기

업적0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과 더 보기

인터뷰0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과 더 보기

아카이브1

‘불교중흥 위한 회향’, 상월결사 2주년 맞아

1970.01.01
결과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