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216개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상세연보33

  • 2023년 2월 23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15일차, 수자타 마을과 전정각산을 지나다.
    새벽 보드리야를 떠나 나이란자나를 건너고, 수자타 마을, 전정각산을 지나다. 여명이 찾아오기 전 수자타 아카데미에서 아침을 먹다. 수자타 아카데미는 1994년 법륜스님이 수자타 마을 인근에 불가촉 천민마을 아이들을 위해 세운 학교다. 순례단은 아침 공양 전 법당에 들러 참배하고 보시함에 시주하다. 다시 길을 나서자 어둠에 갇혔던 둥게스와리 즉 전정각산이 눈에 들어오다. 전정각산은 부처님께서 정각을 이루기 전 수행했던 불교 최고 성지. 순례단은 아침 일출을 맞으며 전정각산을 지나다. 가야 외곽을 지나 초중고등학교가 함께 있는 학교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고 다시 길을 나서 목적지 카이야의 한 학교에 도착하다. 보드가야, 팔구강(니련선하), 하리잔토리, 카르하리, 카이야까지 25km를 걷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15일차] ‘세계평화기원법회’ 감동 이어 순례단 구법의 여정 계속된다
    바로가기
  • 2023년 2월 19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11일차, 엄어와 마을에서 주민들을 축원하다.
    파르사 마을 불자들의 배웅을 받으며 길을 나서다. 파르사 마을 법당 다완 보드 스님은 “한국 순례단의 방문이 큰 힘이 되었다”고 말하다. 파르사에서 4km 가량 떨어진 칼리지에서는 이 학교 불자 교사들로부터 선물을 받고, 범해스님(포교원장)이 순례단을 대표해 염주를 목에 걸어주다. 이날도 전날(18일) 처럼 30km를 걷다. 소와 사람이 함께 사는 마을 골목길, 벽돌을 만드는 빈민가, 시장통을 지나고, 철길 건널목을 건너다. 아침공양은 따뜻한 떡국이 나오다. 이날 목적지 엄어와 마을 주민들은 순례단을 위해 일주일 전부터 청소하고 숙영지 학교에 부처님을 가운데 두고 태극기와 인도국기를 그런 환영 벽화를 붙이는가 하면 보리수 나무를 장엄해 부처님께서 제자들과 나무 주위에 둘러앉아 법을 논하는 장면을 연출하다. 숙영지에서 저녁 예불 후 순례단을 보기 위해 몰려든 500여 명의 주민들에게 회주 스님이 순례 후 처음으로 인사말씀 하다. 스님은 “이곳은 부처님 나라, 진리의 땅이며 부처님 후손인 여러분을 만나러 저희들이 여기에 왔다."며, "이곳에는 보이지 않지만 부처님의 피가 흐르는 후손들이 훗날 3000년 전 부처님이 계셨던 그 시절로 진리의 불꽃을 피워올릴 날이 꼭 있으리라 믿는다”고 말하다. 스님은 또 “우리는 부처님의 후손들을 만나기 위해 43일간 계속 걸을 것”이라며, “오늘 우리와 함께 부처님께 예를 올린 이러한 소중한 인연으로 여러분들의 마음속에 있는 꿈이 부처님 가피로 꼭 이루어지기를 축원드린다"고 인사하다. 스님의 인사말은 힌두어로 통역되다. 주민들은 스님의 말을 경청하며 그 뜻을 알고 크게 박수로 화답하다. 인도에서 30만 명 회원을 보유한 아소카클럽 대표단이 스님에게 부처님상과 아소카왕 석주모형을 선물하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11일차] “하늘에서 신이 내려오는 것 같았다”…환희심 느끼는 인도불자들
    바로가기
  • 2023년 2월 18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10일차, 파르사 마을 주민들의 환대를 받다.
    손나가르에서 파르사까지 30km 행선. 새벽 2시 하루를 시작한 순례단이 라뜨노르, 코라이푸르까지 4시간 동안 16km를 이동한 뒤 아침공양을 하다. 공양 후 다시 이동, 코라이푸르, 카심박하를 거쳐 숙영지 파르사에 오전 10를 넘겨 도착해 여장을 풀다. 누적 이동 거리는 225km. 파르사 마을은 인도 사성제 계급 중에서 가장 하층에 속한다는 달리트(불가촉 천민)였지만 암베르카르 박사의 영향을 받아 불교도로 개종한 마을. 마을 인구 1,000여 명 중 절반이 불교도다. 파르사 마을 불자들은 마을 길, 학교 화장실을 청소하고 순례단을 맞다. 돈이 없어 꽃을 준비 못 한 주민들이 꽃으로 장엄한 순례단을 이끄는 부처님을 보고 기어이 꽃 공양 올리다. 이들이 올린 꽃은 두 송이. 진오스님은 “그 꽃이 진정한 빈자의 일등”이라며 감격하다. 저녁 예불시간에 인근 마을 불자들이 찾아와 법회에 참석하고 회주 스님에게 부처님과 암베르카르 박사가 함께 있는 액자를 선물하다. 저녁 예불이 끝나고 한참 지난 밤 9시. 파르사 마을 불자들이 경찰의 제지로 순례단 캠프에 들어가지 못하고 하루 종일 바깥에서 기다렸다는 사실을 안 순례단장 원명스님, 대변인 종호스님, 비구니 조장 묘수스님이 ‘파르사 불교소사이어티’의 리네 쿠마르 고톰 이사장과 마을 법당 다완 보드 스님 등을 만나다. 고톰 이사장은 순례단 관계자들을 만나자마자 “순례단의 방문을 보았을 때 우리는 천상에서 신들이 내려오신듯하다고 느꼈다”며, 머리를 땅에 대고 종호스님의 발 아래 입을 맞추다. 발에 입을 맞추는 것은 부처님에 대한 경배로 천상에서 내려온 신을 대하듯 최상의 존경을 표한 것. 이들은 부처님 존상을 그린 액자를 선물하다. 순례단도 화답으로 마을 법당을 찾아 참배하고 불사금을 보시하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10일차] 부처님이 걸었던 길, 우리는 묵묵히 걷고 또 걷습니다
    바로가기
  • 2023년 2월 4일 (불기 2567년)
    서울 봉은사 법왕루에서 수미산원정대 4기 수계식과 졸업법회 및 5기 입학식을 봉행하다.
    4기 졸업생 74명과 5기 입학생 136명을 더해 이를 축하하기 위해 법당을 찾은 1,2,3기 대원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 수계식에서 회주 스님은 “항상 불법승 삼보를 공경하고 의지하며 생각과 말, 행동을 바르게 하고 복덕과 지혜를 쌓으라”며, “중생을 위한 보살도를 실천할 것을 잊지 말라”고 재차 당부하다. 지나간 일을 참회하고 삼보에 귀의함을 다짐한 대원들은 장궤합장을 하고 “대덕 스님을 의지해 삼귀의와 삼계를 받사옵고 올바른 부처님의 제자들이 되겠다”고 약속하다. 스님은 4기 졸업생 대표인 권인숙 국회의원, 염동호 교수 등에게 졸업 증서와 수계증, 행도 품계증을 수여하다. 수미산원정대 단장 원명스님(봉은사 주지), 상월선원 총도감 호산스님(총무원 총무부장), 수미산원정대 지도법사 종호스님(동국대 기획부총장) 등은 졸업생 한 명 한 명에게 다가가 부처님 제자가 됐음을 알리는 연비를 내리고 ‘만의 가사’를 직접 입히다. 산화散華 의식으로 법당 곳곳에 꽃비를 내려 부처님의 새로운 제자됨을 축하하다.
결과 더 보기

업적0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과 더 보기

인터뷰0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과 더 보기

아카이브164

천막법당에 학생들 몰려온다

2025.10.09

용맹·결사 깃든 야외 천막법당 거룩하다

1970.01.01

은해사(주지 돈관스님) JSA 법당불사 기금전달

1970.01.01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군법당 신축불사

1970.01.01
결과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