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17개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상세연보6

  • 2023년 5월 31일 (불기 2567년)
    강원 양양 낙산사 설악당 무산대종사 부도탑 제막식 및 5주기 추모다례재에 참석하다.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시조시인이자 설악산문을 중심으로 선풍禪風을 일으킨 선지식인 설악산 신흥사 조실 무산대종사 원적 5주기를 맞아 무산스님 문도회와 후학들이 부도탑을 설치하다. 조각가 김경민이 조성한 부도탑은 중앙부분에 무산스님의 사리를 봉안하고, 스님이 쓴 시조 '파도’ 전문과 직접 그린 그림을 새기다. 왼쪽에는 앉아있는 무산스님의 동상이, 오른쪽에는 참배객 누구나 앉아서 스님과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구성하다. 부도탑 제막식에서 회주 스님이 제막사를 하다.
  • 2018년 3월 1일 (불기 2562년)
    3개월의 정유년 동안거 정진이 끝나 백담사 산문이 열리다.
    백담사 무금선원에서 동안거 해제법회가 열리다. 스님은 법회 후 무금선원 유나 영진스님의 방에서 조실 무산스님과 신흥사 주지 우송스님, 낙산사 주지 금곡스님, 향성선원 선원장 문석스님, 기본선원 선원장 대전스님 등과 동안거 정진 소회를 나누다. 스님은 법회에 앞서 “총무원장을 마치면 이런 일을 해야겠다고 나름 구상을 했었는데 그런 생각이 다 허물이었습니다"라고 소회를 피력하다. 이후 행보에 대한 세간의 관심에는 "총무원장을 8년 했으면 사판으로서 종단을 위해 할 일을 다 했으면 됐지 뭘 더 하겠습니까”라고 답하다. 스님은 무문관 정진하는 동안 체중이 최고 17kg이나 빠졌으나 동안거 해제 2주를 남기고 약간 살을 찌워 12Kg로 줄었다고 밝히다. 그리고 무문관 생활에서 힘든 점으로 손빨래를 꼽다. 화학세제를 이용하다보니 오랫동안 헹궈야 하고 햇볕에 말릴 수 있는 시간도 짧았기 때문이었다고. 스님은 수행하는 동안 “외부 소식을 들을 일도 없고 관심 가질 일도 없으니 모든 것이 저절로 내려지더라”라며 “그렇게 좋을 수가 없었다”고 술회하다.
    관련 이미지
    관련사료
    무문관 나온 자승스님 “뭘 하겠단 생각도 허물”
    바로가기
  • 2016년 11월 30일 (불기 2560년)
    서울 용산 국방컨벤션에서 봉행한 제48주년 ‘군승의 날’ 기념법회에 참석하다.

    선재스님(선재사찰음식문화연구원장)을 조계종 첫 ‘사찰음식 명장’으로 위촉하다.

    동국대 종단 장학생 예방을 받고 격려하다.
    총무원 장학생 14명과 양영진 교무부총장이 참석하다.

    제13회 불교출판문화상 시상식이 열리다.
    대상은 구산선문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한 이일야 철학자의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가 수상.
    관련 이미지
  • 2015년 10월 10일 (불기 2559년)
    서울 진관사(주지 계호스님) 국행수륙대재(중요무형문화재 제126호)가 설행되다.

    기장 장안사(주지 정오스님) 원효창건 1342주년 개산문화축제가 봉행되다.
결과 더 보기

업적0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과 더 보기

인터뷰0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과 더 보기

언론0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과 더 보기

아카이브10

산문입장 (9)

2025.10.21

장안사 개산문화축제 치사

2015.10.10

승보종찰 송광사 산문을 나서 순례의 여정을 시작하는 순례대중(10월 1일. 송광사).png

2025.10.21

승보종찰 송광사 산문을 나서 순례의 여정을 시작하는 순례대중(10월 1일. 송광사).png

2025.10.21
결과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