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3월 19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39일차, 부처님께서 제자들과 목욕했다는 아씨라바티 강을 지나다.
아씨라바티 강, 오늘의 랩티 강이다. <중아함경 '라마경'>은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세존께서는 아난다를 데리고 아씨라바티강으로 가서 언덕 위에 옷을 벗고 곧 물에 들어가셨다. 목욕을 하신 뒤 도로 나와 몸을 닦고 옷을 입으셨다. 그 때 아난다는 세존 뒤에서 부채로 세존을 부쳐드렸다." 이날은 원래 예정된 거리보다 4km를 더 걸어 숙영지에 도착하다. 순례단이 39일차까지 행선한 총 거리는 967km. 시골마을의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숙영할 예정이었으나 기원정사 터에서 봉행하는 정진회향을 제 시간에 진행하기 위해 전날(17일) 숙영지를 쉬라바스티 20km 지점의 발람푸르 시 단과 대학으로 급하게 변경하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39일차] ‘금강경’ 무대 사위성 입성 하루 전, 전법원력 다지다
바로가기
-
2023년 2월 27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19일차, 바이샬리를 향해 북으로 길을 잡다.
음력 2월 8일. 부처님께서 출가한 날이다. 전날(26일) 나란다에서 저녁 법회를 마친 뒤 모처럼 열린 법석에서 회주 스님은 “우리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수행자인가?”라는 물음을 던지다. 순례단도 출가일을 맞아 순례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시간을 갖고 다시 한번 심기를 가다듬다. 이날은 케웨이를 출발해 누르사라이 ,하누만가르, 나가르나우사까지 26km를 행선하다. 비하르주 주도州都, 파트나로 향한 길이어서, 차량통행이 많다. 대형 트럭들이 캄캄한 새벽 도로를 질주하며 경적을 끊임없이 울려대 순례객들의 발걸음을 붙잡다. 이날 행선은 오전 10시경 나가르나우사 시내의 한 학교 운동장에서 마무리하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19일차] 출가절 되새기며…"우리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수행자인가?"
바로가기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우리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수행자인가?” 상월결사 회주 자승스님의 뼈저린 법문
바로가기
-
2023년 2월 16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8일차, 체나리에서 사사람까지 행선하다.
전날(15일)과 똑같은 풍경이 끝없이 이어지는 순례길. 부처님께서도 5비구를 만나고, 60여 명의 아라한들과 걸었던 길이다. 사르나트 녹야원을 떠나 갠지스강을 건너 람나가르, 카코리야, 쉬브람푸르, 바부아, 체나리를 거쳐 사사람에 도착하다. 들판이나 학교 운동장 등 먼지 날리는 야외 천막 생활이 이어졌으나 이날은 숙박시설에 투숙하여 재충전하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8일차] “인도에서 건너간 불교가 돌아왔다”
바로가기
-
2023년 2월 14일 (불기 2567년)
인도순례 6일차, 바부아에서 석가족 마을 후손들을 만나다.
쉬브람푸르를 출발해 바부아에 도착하다. 이날 바부아에서는 점심 무렵 환영 인사차 찾아왔던 석가족 마을 후손들이 저녁 예불에 참여하다. 10여 명의 스님과 성인 청소년 아이들로 이뤄진 30여 명의 석가족 후손들은 합장하고 부처님께 예를 올리다. 부처님 전에 이들이 올린 과일과 꽃이 가득하다. 순례단도 석가족 마을 스님들에게 감사를 표하다. 잔디가 말라 패인 운동장에 숙영지를 차리다. 이동 누적거리는 100km.
관련사료
[상월결사 인도순례 6일차] 환자 속출하지만 갈수록 더하는 인도인들의 순례단 환영 열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