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3월 24일 (불기 2558년)
김명환 철도노조 위원장의 예방을 받다.
철도노조 박태만 수석부위원장, 김상노 해고노동자 대표가 함께 예방해 불교계가 보여준 관심에 감사의 뜻을 전하다. 철도노조가 파업을 철회한 뒤에 코레일에서 파업참여자 130명을 해고하고 284명을 정직하는 등 징계를 내렸으며, 철도노조에 287억에 달하는 손해배상 가압류를 청구했다.
-
2014년 1월 8일 (불기 2558년)
나선화 신임 문화재청장의 예방을 받고, 문화재 보존관리와 불교문화 융성에 힘써 줄 것을 당부하다.
아름다운동행이 2014년 NGO 및 복지단체 지원 기관 14곳을 발표하다.
지구촌공생회의 몽골 게르촌 지역 푸른 마을 만들기, 아시아밝음공동체의 이주민 및 다문화가족 2세와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사업, 이천시장애인복지관의 장애ㆍ비장애 청소년이 함께 하는 통합 스포츠 프로그램 등에 1억원의 기금을 지원하기로 하다.
-
2013년 10월 26일 (불기 2557년)
범어사 1335주년 개산대재를 겸해 봉행된 금정총림 범어사 초대방장 지유 대종사 승좌 고불식에 참석하다.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5회 나란다축제 시상식 및 제12회 은정장학·학술연구지원·생활격려금 증서 수여식’이 열리다.
나란다축제 대상을 비롯 부문별 입상자 283명과 단체 31팀이 수상하다. 가산불교문화연구원과 불교인권위원회, 불교학연구회 등 6개 단체에 연구비를 지원하고, 초중고교생과 대학·대학원생에게 장학금을 전하는 등 총 80명에게 연구비와 장학금, 생활격려금 1억 4,300만원을 전달하다.
-
2013년 2월 27일 (불기 2557년)
조계종 직할교구가 2013년 제1차 교구종회를 열고 사업계획과 예산안을 심의 확정하다. 핵심사업으로 △공찰 주지인사고과제 안정적 정착 △교구행정체계 구축을 통한 분담금 납부율 향상 △주지 미임명 사찰 및 포교소 말소를 통한 교구 위상 강화 등을 설정하고, 일반회계와 승려복지특별회계, 퇴직충당금특별회계 등 총 4억 3,685만 7,000원의 예산을 책정하다.
공익법인 아름다운동행이 △아프리카 학교 건립 △기금 모금 100억원 달성 △정기 기부자 회원 1만명 확보 등을 골자로 한 2013년 사업계획을 발표하다.
-
2010년 10월 23일 (불기 2554년)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9회 은정장학증서 수여식 및 제2회 전국 불교교리 경시대회 시상식을 갖다.
총 125명에게 1억 6,100만원의 장학금과 생활격려금을 수여하고 격려하다. 은정학술상은 동국대 강사인 김치온 박사에게 돌아가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고려불화대전-700년 만의 해후>를 관람하다.
-
2010년 4월 26일 (불기 2554년)
이강래 민주당 원내대표와 김동철, 강창일 국회의원의 예방을 받다.
국회 본회의에서 “동국대 약대 선정은 권력형 비리”라는 억지주장으로 물의를 일으켰던 김동철 의원과 민주당이 공식 사과하다.
-
2009년 11월 29일 (불기 2553년)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8회 은정장학금 수여 및 학술상을 시상하다.
가산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학회, 불교인권위원회,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참여불교재가연대, 화엄학림 등 불교단체 6곳과 불교단체 종사자 자녀및 학생, 생활격려대상자 등 총 117명에게 1억5450만원의 장학금이 지급되다. 은정학술상 수상자로 조승미 동국대 불교학부 강사가, 신진학자 육성 장학금은 최원섭 성철선사상연구원 전임연구원과 안필섭 동국대 강사에게 수여되다.
-
2008년 11월 15일 (불기 2552년)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7회 은정장학금 수여식을 갖다.
불교학자, 대학원, 대학생, 독거노인 등 총 115명에게 1억 7,000여만 원의 장학금이 지급되다. 은정학술상에는 실상사 화엄학림이 선정돼 6명의 학인스님에게 1,000만 원의 학술진흥지원금이 지원되며, 불교계 신진학자로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윤희조 씨와 동국대 박사과정을 수료한 최지연 씨가 선정돼 각 300만원의 장학금을 수여받다.
-
2007년 11월 25일 (불기 2551년)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6회 은정장학금 수여식을 갖다.
기관과 학생 등 82명에게 1억 3,800만 원의 장학금을 지급하다. 제2회 은정학술상 수상자로 창원전문대 이덕진 교수의 논문 「보조지눌 연구」를 선정하고, 서울대 김용태 씨와 동국대 이영진 씨에게 각 300만 원의 불교계 신진학자 육성 장학금을 지급하다.
-
2005년 11월 5일 (불기 2549년)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4회 장학금 수여식’을 갖고, 신용불량자에게 희망격려금을 지급하다.
제4회 은정 장학금은 대학생 28명, 고등학생 19명, 초중생 12명에게 1억 2,015만 원을 수여하고, 생활격려금으로 소년소녀가장 6명, 독거노인 4명, 신용회복자 20명에게 3,300만 원을 지원하다. 학술연구지원금은 가산불교문화연구원에 1,000만 원, 단체 지원금은 대학생불교연합회, 불교인권위원회, 보조사상연구원에 각 300만 원, 동국대 농구부에 600만 원 등 각각 지원해 모두 1억 7,950만 원이었다.
관련사료
은정불교진흥원, 1억7천만원 장학금 전달
바로가기
-
2004년 11월 20일 (불기 2548년)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제3회 은정장학금 수여식’을 갖다.
서울 타워호텔 만복림에서 열린 ‘제3회 은정장학, 학술연구지원, 생활격려금 증서수여식’에서 대학생 등 40명에게 장학금 8,400만 원과 소년소녀가장 11명 및 독거노인 3명에게 생활격려금으로 2,400만 원을 지원하고, 학술연구지원금으로 가산불교문화연구원에 2,000만 원, 대학생불교연합회와 불교인권위원회에 단체지원금 1,100만 원 등 모두 1억3900만원을 지급하다. 이사장인 스님은 2004년 10월 효령대상 부상으로 받은 1,900만 원 전액을 지원금으로 기부하다.
관련사료
은정불교문화진흥원 장학금 1억3900만원
바로가기
-
1993년 3월 9일 (불기 2537년)
실천불교전국승가회(회장 청화靑和스님, 1992년 창립, 이하 실천승가회)가 종회의원 직선제와 겸직금지를 골자로 한 조계종 종헌종법 개정을 촉구하는 공개청원서를 총무원과 원로회의, 중앙종회에 제출하다. 실천승가회는 불교계의 사회운동을 이끌던 불교정토구현전국승가회(1986년 창립)와 대승불교승가회(1988년 창립)를 비롯해 불교계 진보세력들로 구성된 승가 단체다. 불교정토구현전국승가회는 사회의 억압구조를 타파하고 정토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지선, 청화 스님 등이 이끌었다. 대승불교승가회는 사회 민주화와 종단 개혁 기치를 내걸고 활동(위 연보 참조)했는데, 90년대 들어와 사회민주화가 제도적으로 뿌리를 내리면서 두 단체가 따로 활동할 이유가 없어졌고 실천불교전국승가회의 깃발을 올리며 결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