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467개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상세연보449

  • 2008년 4월 25일 (불기 2552년)
    제5교구본사 법주사 제30대 주지 노현老玄스님 진산식에 참석하다.
  • 2008년 4월 11일 (불기 2552년)
    중국 강서성 남창 우민사에서 열린 조계종조 도의국사 입당 구법기념비 제막식에 참석하다.
    조계종조로 받들어지고 있는 도의국사 수법 기념비 제막식에 총무원장 지관스님을 비롯해 중앙종회의장인 스님 등 한국에서 150여 명과 중국에서 200여 명이 참석하다. 지관스님은 "조계종은 종헌 서문에 종조 도의국사께서 조계의 정통법인을 이어받았다고 법원을 분명히 밝혀놓았다"면서 "이번 기념비 제막은 한국의 조계종과 중국의 임제종이 동근동조이며, 마조선사의 후손임을 다시금 확인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다. 도의국사는 생몰연대가 분명치 않으나 통일신라시대인 784년 당나라로 들어가 37년간 머물며 수행하다 821년(헌덕왕 13년) 귀국한 뒤 강원도 진전사에서 40년간 머물다 입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법기념비가 세워진 우민사는 당시 개원사로 불렸으며 도의국사가 서당 지장(735~814) 선사로부터 법을 받은 곳이다. 조계종이 맥을 잇고 있는 중국 남종선은 육조 혜능(638~713)에서 남악 회양(677~744), 마조 도일(709~788), 서당 지장으로 이어졌다. 기념비는 높이 4m80cm, 폭 2m 크기에 도의국사 행적을 포함해 모두 4천300여 글자를 새겼다. 도의국사의 선법은 이후 염거스님과 보조스님을 거치면서 지금의 조계종으로 발전했다.
    관련사료
    조계종조 도의조사 입당구법 기념비 제막
    바로가기
  • 2008년 4월 3일 (불기 2552년)
    제14교구본사 범어사 제23대 주지 정여正如스님 진산식에 참석하다.
  • 2008년 1월 30일 (불기 2552년)
    전북 무주 원통사에서 봉행된 정공스님 영결식과 다비식에 참석하다.
  • 2008년 1월 25일 (불기 2552년)
    탄허대종사 기념박물관 기공식에 참석하다.
    대강백 탄허대종사(1913∼1983)의 사상을 계승하는 기념박물관 건립이 탄허문화재단(이사장 혜거스님)과 오대산 월정사(주지 정념스님)에 의해 추진되다. 서울 강남구 대모산 자락 자곡동 285번지 대지 800평에 지상 3층 건평 450평 규모로 지어질 박물관에는 건립 후 탄허스님이 출간한 15종 74책의 저서와 140점의 서예, 비명 탁본, 사진, 유물 등과 함께 스님이 아꼈던 4,000여권의 고서가 전시되다.
  • 2008년 1월 16일 (불기 2552년)
    한국불교종단협의회 주최 한국불교지도자 신년하례법회가 봉행되다.
    신년법회에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과 임태희 비서실장, 주호영 대변인, 한나라당 이상배ㆍ이해봉ㆍ정종복ㆍ윤원호ㆍ이계진ㆍ김학송ㆍ안홍준 의원과 대통합민주신당 운원호 의원, 김종민 문화부 장관 등이 참석하다.
  • 2007년 12월 7일 (불기 2551년)
    제6교구본사 마곡사 제24대 주지 법용스님의 진산식에 참석하다.
  • 2007년 11월 30일 (불기 2551년)
    제39주년 군승의 날 기념법회에 참석하다.
  • 2007년 11월 23일 (불기 2551년)
    서울 강남 봉은사에서 열린 신라시대 김교각 스님 입상 봉안 법회에 참석하다.
    ‘김교각 지장왕보살입상 한국봉안 한중법회봉행위’(집행위원장 영담스님)가 중국종교문화교류협회 및 중국불교협회(회장 일성스님) 공동으로 교각스님을 국내에 봉안하는 법회를 봉행하다. 봉안법회는 한중수교 15주년을 맞아 중국정부(종교사무국)의 제안을 받아들여 개최되다. 김교각(696~794)스님은 신라 왕족 출신으로 성덕왕 19년(720년) 당나라로 건너가 구화산에서 75년간 수행하여 지장보살로 추앙받았다. 지장보살은 모든 중생이 구원을 받을 때까지 자신은 부처가 되지 않겠다며 중생제도에 나섰던 보살. 교각스님 입적 뒤 3년이 되는 해에 유해가 담긴 항아리를 열어보니 생전의 모습을 그대로 하고 있어 신도들이 등신불로 만들어 육신보전이라 불리는 탑에 봉안했는데, 봉은사에서 봉안법회를 가진 입상은 등신불이 아니라 따로 중국 정부가 제작한 3m 높이의 지장보살상이다. 교각스님 입상은 중국 구화산 육신보전에서 점안법회를 봉행한 뒤 중국 종교사무국 예샤오원葉小文 국장이 한국으로 모셔왔고, 봉은사 법회 후 동국대 경주캠퍼스에 봉안됐다.
    관련사료
    “교각스님 1200년만의 귀향”
    바로가기
  • 2007년 11월 20일 (불기 2551년)
    중앙승가대 후원회 출범식에 참석하다.
  • 2007년 11월 16일 (불기 2551년)
    대형 산불로 소실된 강원도 양양 낙산사 원통보전 낙성식에 참석하다.
    낙성식에서 총무원장 지관스님은 종단을 대표해 정성을 모아준 국민과 불자들, 공사 관계자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다. 종회의장인 스님도 격려사를 통해 "낙산사가 화재 이전의 모습을 되찾기만 한 것이 아니라 발굴조사를 통해 전통 가람배치를 복원하고 노인전문요양원까지 건립하는 불사가 이뤄졌다"고 감사해 하다. 관음신앙 성지로 알려진 낙산사는 2005년 4월 발생한 산불로 울창했던 소나무숲과 법당인 원통보전, 요사채 등 건물 14채와 보물 479호인 동종이 소실됐다. 화재 이후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 등의 자문과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원통보전과 종루를 비롯해 심검당, 선열당, 홍예문, 연하당, 취숙헌 등 소실된 전각 대부분을 복원했다. 보물 제1362호인 건칠관세음보살상이 봉안될 원통보전은 발굴작업을 통해 확인된 조선 초기의 절터와 같은 형태로 복원됐으며 정면 3칸과 측면 3칸의 정방형 구조에 화강석 기단과 배흘림 기둥, 팔작지붕 등 전통방식이 그대로 적용됐다. 동종 또한 사진과 탁본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해 10월 복원됐으며 신도들의 복원 불사로 제작된 범종과 함께 십자형 팔작지붕의 누각인 종루에 안치됐다.
    관련사료
    “화마 딛고 나툰 관세음보살님…”
    바로가기
  • 2007년 11월 15일 (불기 2551년)
    제2대 종정을 지낸 청담대종사 열반 36주기 추모대법회가 봉행되다.
    서울 도선사 호국참회원에서 봉행된 법회에는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스님을 비롯해 300여 명의 사부대중이 참석해 청담스님(1902~1971) 이 주도한 봉암사 결사의 정신을 본받아 청정수행 풍토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한 뜻으로 다짐하다. 스님은 추모사에서 “청담스님은 철저한 수행으로 근현대 불교사에 큰 발자국을 남긴 수좌이자 정화의 기치를 높이 든 행동가였다”며 “스님의 원력과 헌신 덕분에 한국불교가 불조혜명이 비치는 청정승가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기렸다.
    관련사료
    청담스님 열반 36주기 법회 도선사서 봉행
    바로가기
  • 2007년 10월 13일 (불기 2551년)
    북한 금강산 신계사 낙성법회에 참석하다.
    낙성식에는 남측에서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스님, 포교원장 혜총스님, 중앙종회의장 자승스님, 중앙신도회 김의정 회장, 태고종 총무원장 운산스님, 유홍준 문화재청장, 현대아산 윤만준 사장, 북측 유영선 조선불교도련맹 중앙위원장 등 남북 불교도 400여 명이 참석하다. 전날(12일)에는 총무원장 지관스님을 증명법사로 ‘금강산 신계사 부처님 봉안 점안식’이 봉행되다. 신계사神溪寺는 신라 법흥왕 때(519년) 보운스님이 창건한 고찰이다. 장안사, 유점사, 표훈사와 더불어 금강산 4대 명찰로 꼽힌다. 임진왜란 때 서산ㆍ사명대사가 승군을 일으켜 지휘한 곳이고, 근대에 와서 조계종 통합종단의 초대 종정을 지낸 효봉스님이 출가한 곳이기도 하다.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소실됐는데, 남북 공동으로 발굴조사 등을 거쳐 2004년부터 복원불사에 들어갔다. 그리고 그해 11월 대웅보전 낙성식을 가진 데 이어 만세루, 산신각, 칠성각, 종각, 나한전, 극락전, 어실각, 요사채 등을 차례로 복원했고, 2007년 부처님 봉안과 단청작업 등 주변 정리를 마쳐 4년여에 걸친 복원 불사를 마무리했다.
    관련사료
    금강산 신계사 천년고찰 면모 되찾다
    바로가기
  • 2007년 7월 12일 (불기 2551년)
    영축총림 통도사 제27대 주지 정우스님의 진산식에 참석하다.
  • 2007년 7월 11일 (불기 2551년)
    북한 백두산 천지에서 '민족화합 평화통일 기원 대법회'를 봉행하다.
    전날(10일) 김포공항에서 전세기를 타고 평양 순안비행장에 도착하다. 남북교류협력사업장 방문을 시작으로 3박4일 일정으로 이날 백두산에서 법전스님을 증명법사로 초청한 가운데 법회가 봉행되다. 법회에는 남측에서 자승ㆍ지종ㆍ동춘ㆍ고산ㆍ명선ㆍ고우 스님 등과 북측에서 조선불교도연맹 유영선 위원장 등이 참석하다.
    관련사료
    법전 종정예하 첫 방북 '통일기원' 백두산 법문
    바로가기
  • 2007년 6월 27일 (불기 2551년)
    제28회 한일불교문화교류대회에 참석하다.
    3일간 일정으로 해인사에서 '대장경에서 배우다' 주제 세미나와 본대회를 갖고 공동선언문을 채택하다. 다음날(28일) 고려 태조 왕건이 건립한 충남 논산 논산 개태사와 부여 불교전래사은비 참배 등 성지순례 후 조계사로 오다.
  • 2007년 5월 18일 (불기 2551년)
    서울 종로 조계사 시민선원 기공식에 참석하다.
  • 2007년 5월 5일 (불기 2551년)
    제24교구본사 선운사 제15대 주지 법만스님의 취임 진산식에 참석하다.
  • 2007년 3월 10일 (불기 2551년)
    경남 거제에서 거행된 불교계 최초 재활전문병원인 사회복지법인 내원(이사장 정련스님)의 마하병원 개원식에 참석하다.
  • 2007년 1월 5일 (불기 2551년)
    경남 합천 해인사에서 봉행된 불기2551년 정해년 신년하례법회에 참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