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195개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상세연보6

  • 2014년 2월 20일 (불기 2558년)
    조계사에서 열린 화쟁순례 선언식에 참석하다.
    화쟁코리아 100일 추진위원회(상임추진위원장 도법스님)가 우리 사회의 대립과 갈등 해소를 위해 전국에 화쟁의 메시지를 전하는 화쟁순례는 3월 2일 제주 한라산 백록담 천고제를 시작으로 전국 14개 광역도시를 거쳐 6월 10일 서울 광화문공원에서 끝맺는다. 선언문에는 각 종단 총무원장 스님과 정갑윤 국회정각회장, 강창일 정각회 부회장,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 이춘호 EBS 이사장, 김희옥 동국대 총장 등 108명이 동참했다. 선언식에서 스님은 "화쟁코리아 100일 순례는 한반도 곳곳에서 벌어지는 갈등과 고통의 현장을 어루만지고 원융무애의 정신으로 서로의 손을 맞잡는 대장정”이라며 “불교인들이 중심이 됐지만 이웃 종교인들과 시민들이 함께 순례의 길에 나서는 것은 3ㆍ1운동의 정신을 오늘날 되살리는 뜻 깊은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다.
  • 2011년 9월 1일 (불기 2555년)
    추석 인사차 법전 종정예하를 예방하다.

    동화사에서 열린 ‘팔공산 승시축제’ 개막식에 참석하다.
    스님은 격려사를 통해 문화유산 계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팔공산역사문화공원 조성의 필요성을 제기하다. 2회를 맞은 팔공산 승시축제는 고려시대 스님들이 필요한 물품을 교환하던 전통에서 시작되다가 조선시대 중단됐던 것을 동화사가 재현한 것이다.
    관련 이미지
  • 2011년 3월 24일 (불기 2555년)
    성철스님 탄신 100주년 기념 학술포럼에서 격려사하다.

    정병조 금강대 신임 총장의 예방을 받다.
    관련 이미지
  • 2010년 8월 17일 (불기 2554년)
    조계종 화쟁위원회 현판식을 걸고, 워크숍에 참석하다.
    워크숍은 ‘화쟁사상과 사회갈등 해소’를 주제로 열리다. 스님은 격려사를 통해 "화쟁위원회의 활동은 일찍이 우리나라 종교의 역사에서 그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 만큼 새로운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며 “종교가 보다 더 적극적으로 사회와 대화를 나누고 사회적 실천에 나서야 한다는 시대적 소명에 우리 종단이 앞장서 화답한 것”이라고 강조하다. 워크숍에서는 원효스님의 화쟁和諍 사상을 교리적 사회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구체적인 담론과 해법을 모색하다.

    아시아 청소년 초청 한국문화체험 행사 참가자들을 만나다.
    관련 이미지
  • 2009년 7월 7일 (불기 2553년)
    캄보디아 BWC 의료ㆍ요양시설인 화엄다목적센터 기공식에 참석하다.
    BWC(Beautiful World of Cambodia)는 실천승가회 산하 로터스월드(이사장 성관스님)가 2006년 캄보디아 시엠립 지역에 개원한 어린이 구호센터다. 캄보디아 정부로부터 땅 3만 9000여㎡를 지원받아 학교와 기숙사 등을 지어 주변 빈곤층 어린이교육과 지역민 복지사업을 벌였다. 이 지역 주민들은 강렬한 자외선 탓에 백내장 환자가 많아 김안과병원 등 의료진이 방문했었는데, 수술 환자의 사후처리 문제 등 어려운 사정을 듣고 중앙종회에서 지역민 의료와 복지, 자원봉사자 숙소 등 다용도로 쓰일 다목적센터를 기증했다. 스님은 격려사를 통해 “로터스월드의 원력으로 이곳에 세워진 고아원과 교육시설은 캄보디아 국민들의 신뢰를 얻으며 캄보디아 복지는 물론 양국 불교 교류를 증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면서 “다목적센터는 입원실 등 의료복지시설, 또 평상시에는 ‘선문화체험센터’ 등 현지인과 교민의 신행공간으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다.
    관련 이미지
    관련사료
    로터스월드·화엄회, 캄보디아 다목적 복지센터 기공
    바로가기
  • 2007년 11월 16일 (불기 2551년)
    대형 산불로 소실된 강원도 양양 낙산사 원통보전 낙성식에 참석하다.
    낙성식에서 총무원장 지관스님은 종단을 대표해 정성을 모아준 국민과 불자들, 공사 관계자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다. 종회의장인 스님도 격려사를 통해 "낙산사가 화재 이전의 모습을 되찾기만 한 것이 아니라 발굴조사를 통해 전통 가람배치를 복원하고 노인전문요양원까지 건립하는 불사가 이뤄졌다"고 감사해 하다. 관음신앙 성지로 알려진 낙산사는 2005년 4월 발생한 산불로 울창했던 소나무숲과 법당인 원통보전, 요사채 등 건물 14채와 보물 479호인 동종이 소실됐다. 화재 이후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 등의 자문과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원통보전과 종루를 비롯해 심검당, 선열당, 홍예문, 연하당, 취숙헌 등 소실된 전각 대부분을 복원했다. 보물 제1362호인 건칠관세음보살상이 봉안될 원통보전은 발굴작업을 통해 확인된 조선 초기의 절터와 같은 형태로 복원됐으며 정면 3칸과 측면 3칸의 정방형 구조에 화강석 기단과 배흘림 기둥, 팔작지붕 등 전통방식이 그대로 적용됐다. 동종 또한 사진과 탁본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해 10월 복원됐으며 신도들의 복원 불사로 제작된 범종과 함께 십자형 팔작지붕의 누각인 종루에 안치됐다.
    관련사료
    “화마 딛고 나툰 관세음보살님…”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