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10월 18일 (불기 2561년)
조계종 원로회의(의장 종하스님) 제56차 회의에서 제35대 총무원장 설정스님의 인준안이 가결되다.
회의 시작 전 총무원장스님은 인사말을 통해 “부족하지만 널리 혜량해주시고 (원로 스님들의) 공심과 원력의 가르침 덕분에 종단 소임을 여법하게 마무리 하게 됐다”며 “총무원장으로서 원로 대종사 스님들을 모셨던 영예를 깊게 간직하겠다. 종단 발전과 새로운 미래를 위해 건강 하시고 청안하시길 기원한다”고 말하다.
-
2015년 7월 8일 (불기 2559년)
원로회의(의장 밀운스님)가 제49차 회의를 열다.
제202회 중앙종회 임시회에서 가결된 종헌개정안을 인준하다.
-
2015년 4월 8일 (불기 2559년)
조계종 원로회의(의장 밀운스님) 제48차 회의에 배석하다.
중앙종회에서 인준을 요청한 △종정 연령 70세 이상으로 상향 △원로회의를 원로회로 변경 내용이 담긴 종헌 개정안에 대해 재검토를 요청하기로 의견을 모으다.
-
2014년 4월 21일 (불기 2558년)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 대표의장에 재선출되다.
참석자들은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종지협) 정기총회에 앞서 세월호 침몰사고 실종자들의 무사생환과 희생자들의 명복을 기리는 기도의 시간을 갖다. 이어 총회에서 총무원장스님의 대표의장 추대와 함께 박남수 천도교 교령, 서정기 성균관장의 공동대표 인준을 의결하다. 스님은 2012년에 이어 제11대 대표의장에 추대되어 2016년 5월까지 두 번째 임기를 수행하다. 종지협은 1997년 종교 간 화합과 교류를 위해 설립됐으며 국내 7대 종교 수장들이 참여하다.
-
2013년 10월 11일 (불기 2557년)
원로회의(의장 밀운스님)가 제34대 총무원장 인준안을 만장일치로 처리하다.
-
2009년 10월 23일 (불기 2553년)
원로회의(의장 종산스님)가 만장일치로 총무원장을 인준하다.
-
1998년 12월 30일 (불기 2542년)
원로회의(의장 혜암스님)가 총무원장 당선자 고산스님을 인준하다. 또 지난 11.30 승려대회에서 결의한 월하 종정 불신임과 정화개혁회의 월탄ㆍ현호스님 중징계를 추인하다.
-
1994년 10월 2일 (불기 2538년)
원로회의가 개혁회의에서 정한 새 종헌안을 인준하다.
-
1994년 4월 15일 (불기 2538년)
중앙종회가 제113회 임시회를 열어 개혁회의에 종단의 전권을 이양하고 제10대 중앙종회를 자진 해산하다. 이에 앞서 원로회의의 제27대 총무원장 선출 인준 거부에 따른 총무원장 불신임과 종정 불신임 건을 확인하고 의결하다.
-
1994년 4월 13일 (불기 2538년)
의현스님이 총무원장 사퇴를 발표하고, 원로회의가 개혁회의를 인준하다. 경찰은 조계사에서 철수하다.
-
1992년 1월 16일 (불기 2536년)
조계종단은 90년부터 강북 총무원(의현義玄스님)과 강남 총무원(벽암碧岩스님)으로 나뉘어 갈등을 빚었는데, 정부 중재로 양측이 30인 제도개혁구성위원회 구성을 합의했으나 원로회의(의장 서암西庵스님)의 반대로 무산되다.
원로회의는 방장이나 조실 등 원로 스님들로 구성되는 종단의 최고권위기구다. 원로회의가 정식 발족한 것은 1980년대 초로 과거 장로회의가 발전된 형태였다. 종헌에는 승랍 40세, 연령 65세 이상 종사급 원로 비구로 구성하며 의원은 중앙종회에서 추대하도록 되어 있다. 임기는 10년이고 정원은 10인 이상 21인 이내다. △종헌 개정안과 △총무원장에 대한 인준 및 불신임 결의안 △중요 종책의 조정 등을 원로회의 의결을 거치도록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