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15개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상세연보13

  • 2023년 9월 5일 (불기 2567년)
    상월결사 대학생전법 워크숍

    ‘한국불교의 생존’과 직결된 대학생 포교의 대계를 세우기 위해 사부대중이 한자리에 모였다. 상월결사(회주 자승스님)는 대학생전법위원회 워크숍을 개막했다. 9월5일부터 6일까지 1박2일 동안 공주 한국문화연수원과 마곡사 일원에서 열리는 워크숍은 전국 각지의 전법위원 400여명이 운집해 성황을 이뤘다.
    관련사료
    상월결사 대학생전법 워크숍...본사주지 종회의원 교수 학생 400여명 1박2일 대토론회 막 올랐다
    바로가기
  • 2023년 7월 6일 (불기 2567년)
    상월결사 대학생전법위원회가 출범하다.
    동국대 본관 중강당에서 출범식이 개최되다. 사단법인 상월결사 창립총회에서 회주 스님이 “한국불교 중흥을 위해 대학생 포교를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한다”고 선언한 후 7개월 뒤 전국 규모의 사부대중이 참여하는 기구가 출범하다. 상월결사 대학생전법위원회는 종정예하 중봉 성파대종사를 증명으로,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과 원로회의 의장 자광대종사가 지도위원장, 고문에 상월결사 회주 스님이 추대되다. 자문위원장에는 동국대 이사장 돈관스님, 자문위원에는 조계종 포교원장 범해스님, 불교방송 이사장 덕문스님, 총무부장 호산스님, 윤재웅 동국대 총장, 채석래 동국대 의료원장이 위촉되고, 전국 교구본사 주지 스님들이 16개의 지역본부의 본부장으로서 지역포교를 책임지기로 하다. 회주 스님은 포교원장 범해스님이 대독한 봉행사에서 “대학생 전법은 한국불교의 보배를 만들어 가는 길”이라며, “상월결사는 청년 대학생 불자들이 불교의 가치와 실천을 현대사회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고 말하다. 이어 총무원장 진우스님이 치사를 하고, 각 지역 포교를 책임질 교구 지도법사(스님)를 비롯해 교수, 군법사, 학생, 일반인 등 574명이 전법위원으로 위촉되다. 발원문은 유정현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장이 대표로 낭독하다. 이날 출범식에는 조계종 원로의원 동명스님,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이사장 돈관스님, 조계종 포교원장 범해스님, 직할교구 조계사 주지 지현스님, 서울 봉은사 주지 원명스님, 제2교구본사 용주사 주지 성효스님, 제7교구본사 수덕사 주지 도신스님, 제9교구본사 동화사 주지 능종스님, 제14교구본사 범어사 주지 보운스님, 제15교구본사 통도사 주지 현덕스님, 제17교구본사 금산사 주지 일원스님, 제18교구본사 백양사 주지 무공스님, 제19교구본사 화엄사 주지 덕문스님, 제23교구본사 관음사 주지 허운스님, 군종특별교구장 능원스님, 총무원 총무부장 호산스님, 불교신문사장 삼조스님, 정충래 최진식 동국대학교 이사, 윤재웅 동국대 총장, 채석래 동국대의료원장, 이상훈 한국교수불자연합회장, 유정현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장, 변대용 대불련 총동문회장 등 사부대중 500여 명이 참석하다.
  • 2022년 8월 24일 (불기 2566년)
    팔공산 은해사 일원에서 평화 방생순례가 열리다.
    조계종 제10교구본사이자 경북지방 천년고찰 은해사銀海寺. 팔공산 곳곳에 있는 불보살들이 마치 은빛 바다가 물결치는 듯 찬란하고 웅장한 모습이 극락정토 같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은해사 역사는 신라 41대 헌덕왕 1년(809년) 혜철국사가 해안평에 창건한 해안사로부터 시작된다. 현존하는 암자만 8개가 있고 말사 숫자가 50여 개에 이른다. 교구본사 가운데 본존불로 아미타불을 모시는 미타도량으로 유명하다. 가을을 재촉하는 감로비가 내리는 가운데 오전 10시 은해사 템플스테이 운동장에서 총도감 호산스님의 사회로 평화 방생순례 입재식이 봉행되다. 상월결사 회주 스님의 인사말은 동국대 건학위원장 돈관스님이 대독하다. 은해사 조실 법타스님과 회주 돈명스님, 주지 덕조스님 등 사중 스님들은 환영인사로 순례자들을 반기다. 조계종 제37대 총무원장 당선인 진우스님도 입재식에 참석해 순례자들을 격려하다. 은해사는 입재식에서 동국대에 건학장학금 2,000만 원, 상월결사에 인도순례 후원금을 전달하다. 박봉규 은해사 신도회장 등 순례 동참자들은 발원문 낭독을 통해 순례의 의미와 각자의 서원을 되새기다. 입재식을 마친 뒤 회주 스님을 필두로 1,600여 명의 사부대중이 걷기 순례에 나서다. 순례는 은해사 템플스테이 운동장을 출발해 산내 암자인 백흥암에 이르는 왕복 6km 구간에서 진행되다. 오후 12시50분께 불교중흥과 국가 화합, 세상의 평화를 염원하는 평화방생 축원을 마지막으로 회향하다. 이날 순례에는 동국대 이사장 성우스님, 건학위원장 돈관스님, 법주사 주지 정도스님, 동화사 주지 능종스님, 고운사 주지 등운스님, 화엄사 주지 덕문스님, 중앙종회 의장 정문스님과 중앙종회의원 30여 명, 불교신문 주간 오심스님, 교육원장 직무대행 서봉스님 등 스님을 비롯해 조계사와 봉은사, 도선사, 국제선센터, 대덕사, 안국선원, 전등사, 백담사, 보경사, 관촉사 등 전국 각지 사찰 신도들, 주윤식 조계종 중앙신도회장과 윤성이 동국대 총장, 이영경 와이즈캠퍼스 총장, 채석래 동국대 의료원장 등 재가단체 지도자와 이철우 경북도지사, 최기문 영천시장, 이만희 국회의원 등 지역 정관계 인사들도 동참하다.
    관련 이미지
    관련사료
    천년고찰 은해사서 상월정신 잇는 ‘평화 발원’
    바로가기
    관련사료
    [지금 불교는] “내 마음의 자유가 최상의 방생” 상월결사 제5차 평화방생순례 ‘은해사 편’
    바로가기
  • 2022년 7월 20일 (불기 2566년)
    상월결사가 인도도보순례 ‘상월결사, 부처님과 함께 걷다’ 계획이 발표되다. 인도도보순례는 2019년 상월선원 천막결사와 2020년 국난극복 자비순례, 2021년 삼보사찰 천리순례, 2022년 평화방생순례에 이어 인도에서 부처님처럼 직접 도보로 길을 걷는 성지순례다. 일정은 2023년 2월 9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해서 델리와 바라나시를 거쳐 2월 11일 사르나트에서 입재식을 갖고, 보드가야와 라즈기리(영축산), 나란다대학, 바이샬리, 쿠시나가르, 네팔 룸비니 등 인도와 네팔의 불교성지 순례하고 3월 20일 기원정사에서 회향식을 가진 뒤 3월 23일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다. 43일 동안 1167km를 매일 새벽 3시 출발해 약 25km씩 걷는다. 기내 1박을 제외한 현지 42박 가운데 야외 텐트에서 29박을 하고, 목욕과 빨래 등 개인 정비를 위해 숙소에서 12박을 한다. 스님과 재가자, 남녀노소 구분 없이 누구나 평등하게 두 발로 전 구간을 걸으며 길 위에서 공양하고 잠자리에 든다. 순례단장 원명스님과 실무담당자들이 6월 14일부터 23일까지 인도 현지를 사전답사하고, 6월 29일 답사결과를 회주 스님에게 보고한 후 7월 18일 순례단 조장 간담회를 열어 일정을 확정하겠다고 밝히다. 이어 10월 1일과 2일에 화엄사 일원에서 인도순례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한다. 참가자는 8월 31일까지 상월결사 인도순례 참가신청 홈페이지(https://naver.me/x0GjaUeq)를 통해 접수 받아 자비순례와 천리순례 등 기존 상월결사 순례 참가자를 우선 선정한 뒤 내부회의를 통해 최종 참가자를 확정한다. 참가자 규모는 봉사자 포함해 100명선으로 동참비는 1인당 1,000만 원선이 될 거라고 밝히다. 박기련 상월결사 지원단장의 사회를 열린 이날 기자간담회는 상월결사 총도감 호산스님의 인사말과 개요 발표, 상월결사 순례단 3조 조장 법원스님의 상월결사 경과보고, 순례단장 원명스님의 인도순례 경과보고, 상월결사 순례단 4조 조장 설암스님의 취지문 낭독 등으로 진행되다.
  • 2022년 7월 6일 (불기 2566년)
    법주사 일원에서 평화 방생순례를 거행하다.
    부처님 법이 머무르는 도량, 속리산 법주사法住寺는 신라 진흥왕 14년(553년) 의신조사가 창건한 유서 깊은 미륵도량이다. 팔상전 등 국보 3점과 보물 13점 등 40여 점의 지정 문화재가 있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다. 전국 각 교구본사를 찾아 평화 방생순례를 하고 상월결사가 법주사 일원에서 4번째 순례를 이어가다. 오전 9시30분 법주사 대웅보전 앞마당에서 참석 대중 모두가 둥글게 선 채, 총도감 호산스님의 사회로 입재식이 봉행되다. 회주 스님은 동국대 이사장 성우스님이 대독한 인사말씀를 통해 “옳고 그름의 경계속에서 집착과 번뇌를 내려놓고 끊임없는 자비행을 사회에서 실천해야 평화로운 세상이 이뤄질 것”이라며 “법주사 순례길을 걸으며 상월결사 평화방생순례의 본래 취지를 잘 참구해 사바세계가 불국정토로 전환하길 축원한다”고 말하다. 회주 스님으로부터 죽비를 건네받은 법주사 주지 정도스님은 환영인사를 통해 “순례자들의 마음에 자비와 세상에는 평화를 위해 내딛는 우리들의 한 걸음 한 걸음의 발자취는 한국불교의 새로운 방향과 수행의 방법을 제시하는 소중한 기록이자 살아있는 역사가 될 것”이라며 “이런 소중한 시간과 인연이 이곳 법주사에서 이뤄지는 것에 감사드리고 함께 동참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전국 각지에서 온 순례자들을 반기다. 연경희 법주사신도회장이 대표로 낭독한 발원문을 통해 “강하고 약한 나라 모두가 분별과 차별이 없는 평화의 서원을 의지해 향기로운 정토로 나아가는 마음의 평화 방생을 원만 성취해 주시옵고 모든 생명이 함께 걷는 마음의 길을 환하게 밝혀 주시어 평화의 꽃향기를 널리 나눌 수 있도록 생명의 문을 크게 열어주소서”라고 서원하다. 입재식을 마친 뒤 회주 스님을 필두로 1,500여 명의 사부대중이 순례에 나서다. 30도를 훌쩍 뛰어넘는 무더위와 폭염으로 불의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막기 위해 걷는 길이도 줄이고, 코스도 평지 중심으로 구성되다. 순례는 총지선원 옆을 지나 석문까지 갔다가 되돌아온 뒤 능인수련원을 거쳐 상수도수원지를 한바퀴 돌아서 경내 미륵대불 앞마당에 이르는 7km다. 이날 순례에는 회주 스님을 비롯해 동국대 이사장 성우스님, 건학위원장 돈관스님, 법주사 주지 정도스님, 마곡사 주지 원경스님, 수덕사 주지 정묵스님, 동화사 주지 능종스님, 은해사 주지 덕조스님, 고운사 주지 등운스님, 안국선원장 수불스님, 불교신문 사장 현법스님과 주간 오심스님, 총무원 기획실장 법원스님, 중앙종회 부의장 각림·만당스님과 중앙종회의원 30여 명 등 스님을 비롯해 조계사와 봉은사, 도선사, 진관사, 안국선원, 용화사 등 전국 각지의 사찰 신도들도 함께 했다. 또한 주윤식 조계종 중앙신도회장과 윤성이 동국대 총장, 이영경 와이즈캠퍼스 총장 등 재가단체 지도자와 김영환 충북도지사와 최재형 보은군수 등 지역 정관계 인사들이 동참하다. 오후 12시30분께 걷기를 회향한 순례 참여자들은 불교중흥과 국가 화합, 세상의 평화를 염원하는 평화방생 축원과 법주사 경내를 참배한 뒤 다음 순례를 기약하다.
    관련 이미지
    관련사료
    상월결사 ‘미륵도량’ 법주사서 평화 발원하다
    바로가기
  • 2017년 1월 11일 (불기 2561년)
    종무회의에서 ‘조계종 백년대계본부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령’을 의결하다.
    백년대계본부는 종단 내 흩어져 있는 미래 관련 업무를 일원화하는 창구로 기존의 총무원 산하기구인 자성과쇄신결사추진본부, 불교사회연구소, 화쟁위원회, 사부대중 100인대중공사, 미래세대위원회, 종책개발위원회 등을 통합 운영한다. 주요 사업은 △미래 사회의 변화상과 그에 대한 불교적 가르침과 해법 연구 △각종 사회현상과 현안에 따른 종단 미래전략 수립 및 실행방안 마련 △사회갈등과 이에 대한 화쟁적 해법 마련 등 제반활동 △민주적 의사결정 제도 연구 및 종단 내 평등한 논의의 장 마련 △각종 조사 연구 발간 사업 △종단의 각종 종책 연구 △정부 및 민간단체의 각종 연구용역 사업 등이다. 직제는 본부장, 지도위원회, 운영위원회, 불교사회연구소, 각 위원회, 사무총장, 사무국으로 구성하다. 이날 백년대계본부 사무총장에 결사추진본부 사무총장을 지낸 일감스님을 임명하다.

    총무원장 종책특별보좌관 문화담당에 혜일스님, 불교중앙박물관 사무국장에 응진스님, 총무원 호법부 호법과장에 자원스님, 조사과장에 기원스님을 각각 임명하다.
  • 2016년 10월 20일 (불기 2560년)
    공주 마곡사 일원에서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와 일한불교교류협의회(회장 후지타 류조스님) 주최로 제11차 한일불교여성교류대회가 열리다.
  • 2015년 6월 30일 (불기 2559년)
    ‘한반도 생명평화를 기원하는 걷기명상’에 동참하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참회와 성찰을 통해 생명이 우선인 사회를 염원하기 위한 묵언 걷기명상이 서울 조계사 일원에서 진행되어 총무원장스님을 비롯해 종단 중진스님들과 종무원, 불교시민사회단체 회원 등 80여 명이 참가하다.
    관련 이미지
  • 2013년 8월 20일 (불기 2557년)
    박원순 서울시장과 조계사 일원인 종로구 견지동 45번지 일대 역사문화관광자원 조성 공동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하다.
    관련 이미지
  • 2013년 5월 7일 (불기 2557년)
    불기2557년 부처님오신날 봉축사를 발표하다.
    스님은 봉축사를 통해 “부처님은 모든 중생의 행복과 안락을 위해 발심하고 수행하셨으며, 오늘도 중생이 살아가고 있는 역사의 삶터에 계시다”며 “우리 모두가 으뜸으로 받들어야 할 가치는 공동체 의식으로, 농부와 노동자의 땀과 정성이 있기에 사람은 밥을 먹고 아름다운 정신의 꽃을 피울 수 있다”라며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다. 이어 “이웃을 부처로 모시는 일이 삶의 현장에서 구현되기를 발원하며, 농민이 논밭에서 호미와 괭이를 잡는 세상을, 빈민과 노동자가 거리에 나앉고 일터에서 쫓겨나는 일이 없는 세상을, 아이들이 친구와 우정을 나누고 가정에서 크게 웃는 세상을, 청년들이 냉혹한 삶의 전쟁터에서 불안에 떠는 일이 없는 세상을, 짐이 된 노인들이 쓸쓸히 석양을 바라보는 일이 없는 세상을 만들어가는 가는 일에 국정의 지도자, 지식인, 종교인 모두가 힘을 모으기를 희망한다”고 말하다.

    서울 승가사 주지에 정호스님을 임명하다.

    ‘제6회 불교아동미술 큰잔치’ 대회장을 방문해 참가자들을 격려하다.
    조계종 사회복지재단이 어린이날을 맞아 서울 조계사 일원에서 개최하다.
    관련 이미지
  • 2011년 11월 23일 (불기 2555년)
    제26차 세계불교도대회 한국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영조스님) 출범식에 참석하다.
    대회는 2012년 5월 12일부터 3개월 동안 여수 일원에서 개최되는 ‘2012 여수 세계박람회’ 기간 중에 열린다.
    관련 이미지
  • 2011년 6월 20일 (불기 2555년)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의 예방을 받다.
    조계종이 불교관련 규제법령을 ‘전통사찰의 보존 및 지원에 관한 법률’로 일원화하는 것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이를 당론화 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다.

    전재희 한나라당 전통문화발전특별위원장 등 소속 국회의원들의 예방을 받다.
    관련 이미지
  • 2011년 5월 8일 (불기 2555년)
    조계사 앞 우정국로 일원에서 열린 ‘불교문화마당’을 찾아 관계자들을 격려하다.
    불교문화와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법석으로 MBC와 공동으로 벌이는 캠페인 ‘무소유, 비움과 나눔’이 방영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