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1월 5일 (불기 2560년)
팔공총림 동화사 통일기원대전에서 종정예하 신년하례법회를 봉행하다.
진제 종정예하는 새해를 맞아 각자 화두를 챙겨 성성惺惺하게 의심하고 의심해서 일념一念을 지속해 견성대도見性大道를 성취하게끔 정진할 것을 당부하다. 진제 종정예하는 신년 법어를 통해 “금생今生에 이 견성법見性法을 성취하지 못하면 어느 생에 고귀한 불견성법佛見性法을 또 만나겠느냐”며 “죽음에 다다라 후회한들, 활이 활시위를 떠나면 다시 돌아오지 않음을 명심할 것”이라고 말하다. 총무원장스님은 “원로의장 스님과 원로의원 스님을 편안케 모시고, 청정한 수행과 자비의 실천으로 모두를 행복으로 이끄는 장엄한 빛으로 새해를 밝혀 나가겠다”면서 “일선에서 근념을 다해 온 교구본사 주지 스님과 종회의원 스님의 수고에 더해 종무기관 소임자들 또한 진력을 다하겠다”고 말하다. 신년하례법회에는 진제 종정예하, 원로의장 밀운스님을 비롯해 명선·혜승·법흥·종하·월탄·인환·정관·암도·지성·대원·성우·원경스님 등 원로의원 스님들이 함께하다. 또 총무원장스님, 중앙종회의장 성문스님, 호계원장 지원스님, 교육원장 현응스님, 동국대 이사장 직무대행 성타스님, 총장 보광스님, 교구본사 주지, 중앙종회의원, 전국비구니회장 육문스님을 비롯한 비구니 스님과 포교신도단체 대표 등 300여 명이 참석하다.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예방을 받다.
-
2015년 4월 14일 (불기 2559년)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이틀 앞두고 조계사에서 희생자의 극락왕생과 유가족의 슬픔과 아픔을 치유하는 추모법회가 봉행되다.
총무원장스님을 비롯해 교육원장 현응스님, 포교원장 지원스님, 조계사 주지 원명스님, 세월호 실종자 및 희생자 가족 등 200여 명이 참석하다. 그리고 조계사를 비롯해 전국 사찰에서 희생자를 추모하는 타종식이 거행되다.
-
2014년 9월 20일 (불기 2558년)
서울 동국대에서 열린 제6회 나란다축제에 참여하다.
은정불교문화진흥원과 조계종 포교원(원장 지원스님)이 공동 주최한 축제에는 내외국인 6,000여 명이 참석해 한국불교를 함께 이해하고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시간을 갖다. 댄스경연대회를 관람한 총무원장스님은 참석자들과 자장면 공양을 함께 하고, '도전! 범종을 울려라’ 행사장에 들러 한국불교를 열심히 공부한 외국인들을 격려하다.
-
2013년 12월 2일 (불기 2557년)
한국불교 중흥과 제34대 집행부 종책과제 실현을 위한 중앙종무기관 대중공사가 진행되다.
총무원장스님을 비롯해 교육원장 현응스님, 포교원장 지원스님과 중앙종무기관 부실장 및 국장스님 외 차팀장, 유관기관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하다.
총무원 문화부와 불교신문이 ‘제1회 대한민국 전통문화사진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하다.
-
2013년 9월 26일 (불기 2557년)
해인사 ‘2013 대장경 세계문화축전’ 개막식에 참석하다.
'미래를 여는 화합, 세계로 가는 만남’을 주제로 한 달 보름 동안 열린 축전에는 주최 측인 해인총림 해인사 주지 선해스님을 비롯해 스님과 원로의원 대원스님, 포교원장 지원스님 및 각 교구본사 주지 스님, 홍준표 경상남도지사, 하창환 합천군수, 주한외교사절과 정관계 인사 2,000여 명이 참석하다.
순천 선암사에서 제25대 태고종 총무원장 도산스님 취임법회가 봉행되다.
-
2013년 8월 24일 (불기 2557년)
오페라하우스 인근 현대미술관 광장(MVA)에 한국불교문화 체험행사가 개막하다.
야외에 전통등이 전시된 가운데 인경 체험, 연꽃등 만들기, 단청 그리기 등 문화체험과 사찰음식 체험, 템플스테이 홍보가 전개되다. 포교원장 지원스님과 중앙승가대 총장대행 미산스님은 각각 대중 법문과 영어 강연으로 현지인들에게 부처님 가르침을 전하다. 그리고 현대미술박물관 내 베올리아 극장에서는 다큐 영화 <길 위에서>가 상영되다.
쌍용차 해고자 복직 촉구 범국민대회에 영상메시지를 보내다.
불교 개신교 가톨릭 등 국내 3대 종교 지도자들이 쌍용차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노동자들과 함께 할 것을 약속하다.
-
2012년 9월 3일 (불기 2556년)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의 예방을 받고, 불교문화 등 전통문화 보존에 관해 환담하다.
신임 중앙징계위원 스님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하다.
중앙징계위원회는 위원장인 총무원장스님을 비롯해 교육원장 현응스님, 포교원장 지원스님(이상 당연직), 위촉직 위원인 성문스님(동화사 주지), 원행스님(금산사 주지), 성직스님, 정묵스님(이상 중앙종회의원), 종훈스님(보광사 주지), 보경스님(법련사 주지) 등 9명으로 구성되다. 이에 앞서 28일 제41차 종무회의에서 ‘중앙징계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령’이 제정 공포되다.
뮤지컬 <쌍화별곡> 배우들의 연습실을 찾아 격려하다.
<쌍화별곡>은 원효스님과 의상스님이 한 시대를 이끌면서 나눈 진한 우정을 그린 이야기로 불교방송 이사장 영담스님이 제작을 주도하다.
-
2011년 9월 19일 (불기 2555년)
중앙종회(의장 보선스님) 제187회 임시회가 개원되다.
신임 포교원장에 지원스님(양주 육지장사 회주)이 선출되다.
엘리자벳 로랭 주한 프랑스대사의 예방을 받다.
-
2006년 11월 13일 (불기 2550년)
제14대 중앙종회 전반기 의장에 당선되다.
중앙종회 제172회 정기회에서 총 76명 가운데 49표를 획득, 전체 종회의원의 64.4%의 지지를 얻어 종회의장으로 선출됐다. 스님은 선출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생산적이고 발전적인 중앙종회가 될 수 있도록 종책모임간의 의견조율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며 ''화합종회''를 표방하다. 종회 부의장은 장주스님(수석)과 동광스님(차석)이 각각 만장일치로 결정되다. 또 전반기 종회사무처장은 주경스님이 임명되다. 상임위원장은 총무분과위원장 상운스님, 교육분과위원장 장적스님, 포교분과위원장 지원스님, 사회분과위원장 수현스님, 재정분과위원장 향적스님, 호법분과위원장 도완스님, 법제분과위원장 장윤스님이다. 스님은 종회 의장을 맡아 신뢰와 소통의 리더십으로 종회 내 각 종책모임의 이견과 총무원과의 종무를 조정하는 중재자 역할을 자임하고, 종회 본연의 기능인 입법 활동과 집행부에 대한 감사와 견제 활동을 활발히 지원하면서 위상을 높이다.
관련사료
제 14대 중앙종회 의장 자승스님 당선
바로가기
관련사료
인터뷰/ 제14대 중앙종회 전반기 의장 자승스님
바로가기
-
1999년 11월 25일 (불기 2543년)
제30대 총무원(총무원장 정대스님) 재무부장에 재임명되다.
총무원장 정대스님은 임명장을 수여하면서 종단 화합을 강조하고, 애종심을 갖고 종무행정에 임해 줄 것을 당부하다. 총무원 기획실장에 지원스님(송광사 주지) 임명.